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 어린이의 권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면서 어린이들이 활용하기에 어렵다고 느낀 적은요? 아마 미디어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은 이 중 일부를 직접 경험하거나, 전해 들었을 거예요. 아직 디지털 세계는 어린이의 세상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어요. 그래서 디지털 세계에서 어린이의 권리는 충분히 존중받지 못하고 ... ...
- 게임으로 만나는 놀러와! 도토리 슈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본책 50쪽과 함께 보세요! 수학 천재 가을이 없이도 도토리 슈퍼를 운영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하는 솜이 사장.솜이의 비법은 바로 ‘계산기’ 였어요. 하지만 계산기도 잘못 사용하면 답을 틀리기 마련! 계산기로 할 수 있는 재미난 활동을 통해 수 감각을 길러봐요! ...
-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울릉난수성 소용돌이 외에도 동해 냉수성 소용돌이*의 형성 과정도 수학 모형을 사용해 분석 중이랍니다. 독도의 토양 독도의 토양을 연구하는 분도 있습니다. 바로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연구관이에요. 2008년 우리나라에 토양 조사가 안 된 지역이 많다는 의견을 들은 손 ... ...
- [기획] 수학 학습량을 보는 다른 시선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있었습니다. 덧붙여 학습 부담을 낮추기 위해 교과 단원을 재편하거나 공학적 도구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내놓았습니다. 이런 결과에 대해 교육부는 일본, 중국,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10개국을 선정해 수학 교육과정을 분석했고, 설문 조사와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얻어낸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 ...
- [기획] 수학 교과과정 개정에 대한 또 다른 의견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필로 탐구하고 계산하면 될 내용에서는 굳이 공학적 도구를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생활 데이터를 활용해서 수학적 모델을 만드는 것처럼, 수학 내용 자체가 지필보다 공학적 도구로 탐구할 때 훨씬 효율적인 내용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적합한 교수학습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스크래치 코드에는 펜 굵기를 변경해 지형을 생성하는 부분도 있으니,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한 결과(아래 그림)와 생성 속도를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생성한 지형에 캐릭터를 배치하고 이동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능을 추가해 직접 코드를 수정해 보세요. 폴리매스 사이트에 ... ...
- [수학기자의 책장] 숫자로 찾아보자, 사실 뒤에 숨은 진실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말합니다.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지만, 숫자를 해석하는 사람이 잘못된 방법을 사용하면 오해와 편견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 저자는 미래를 낙관적으로도, 비관적으로도 전망하지 않습니다. 다만 중립적인 입장에서 숫자를 이용해 우리를 둘러싼 세상을 판단하죠. 숫자로 진실을 알고 싶다면? ... ...
- [한페이지 뉴스] 14개 원소 품은 ‘슈퍼 다원소 촉매’의 탄생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뛰어나고 반응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소를 발생시키는 반응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백금 촉매를 썼을 때보다 반응이 빨랐다. 또 내구성이 뛰어나 산성 용액에서 10시간을 둬도 다공성 구조가 그대로 유지됐다.후지타 교수는 “금속 말고도 황이나 인 같은 비금속 원소를 포함한 촉매를 ... ...
- 글꼴에 둘러싸인 일상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디자이너 맥스 미딩거가 개발한 글꼴이다. 맥도날드와 BMW, 3M, Jeep, 삼성의 브랜드 로고로 사용됐다. 가로 세로 비율이 거의 일정하고 글꼴에 별다른 장식이 없다. 1970~80년대엔 무미건조하고 획일적이라는 비판도 있었지만, 여전히 전 세계에서 푸투라만큼 많이 쓰이는 글꼴이다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머리카락도 도시 새 둥지에서 벽을 세울 용도로 자주 사용됩니다. 언뜻, 머리카락이면 그래도 해롭지 않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의외의 이야기가 돌아왔습니다. 박새 둥지는 한 둥지에 어린 새가 열 마리 정도 모여 살다 보니 머리카락이 발에 얽혀 발가락을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