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뉴스] 인저뉴이티, 다른 행성의 하늘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빠른 회전 속도에도 날개가 망가지지 않도록 튼튼한 탄소복합재를 날개의 재료로
사용
했지요.인저뉴이티는 시험 비행을 하면서 카메라로 그동안 촬영할 수 없었던 화성의 모습을 담을 예정이에요. 로버로 갈 수 없는 지형을 화성 상공의 위성보다 가까이서 관측할 수 있거든요. 인저뉴이티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은 모든 기술의 집합체예요. 레고 부품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LED를
사용
했어요. 아두이노로 빛을 조절하고, 전선은 레고 안으로 숨겼죠. 건축 기술도 적용됐어요. 받침이 없는 긴 천장 내부에 단단한 철제 기둥을 심었어요. 천장이 무너지지 않도록 계산해 설계했죠. Q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있어요. 멸종위기종이나 기존의 환경에 새롭게 침입한 생물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연구에
사용
돼요. 환경 DNA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연구자가 생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생물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 ...
[핫이슈] 원주율 세계 기록 달성! 소수점 아래 62조 8318억 5307만 1796번째 자리까지 계산했다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읽고 퀴즈의 답을 적어보세요. 해설 원주율은 우리가 원의 둘레나 넓이를 구할 때
사용
하는 수예요. 물론 원주율을 몰라도 원의 둘레와 넓이를 구할 수 있어요. 다만 구하는 게 편리하지 않을 뿐이에요. 왜 그런지 살펴볼게요. 원은 곡선으로 이뤄져 있어 원의 둘레는 자로 잴 수 없어요. 실로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수학적 접근’이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겐조가 펼친 주장이 허술하다고 반박했어요. 이때
사용
된 수학 개념은 삼각함수와 피타고라스 정리로 꽤 간단한 수학식으로 오랫동안 사실처럼 주장해온 겐조의 주장을 반박한 거죠. 그렇다면 정 교수는 어떤 방법으로 독도가 우리땅임을 증명했을까요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안녕하세요. 대구 태전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 김규민입니다. 로블록스에서는 다른
사용
자가 만든 공간에서 놀기만 했는데 이번 기회에 직접 내 공간을 만들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직접 공간을 만들어보니 지형을 내 마음대로 만들 수도 있고, 블록들을 조합해 새로운 물건을 만들 수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달리 말하면 철사 안에 결함이 있을 때 특정 부분이 약해져 철사를 구부리거나 잘라서
사용
할 수 있다”며 “이처럼 액정과 같은 다양한 물질에서 결함의 성질을 이해한다면 물질을 더욱 유용하게 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교수는 “앞으로 이러한 위상적 결함을 찾고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스크래치 코드에는 펜 굵기를 변경해 지형을 생성하는 부분도 있으니,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
한 결과(아래 그림)와 생성 속도를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생성한 지형에 캐릭터를 배치하고 이동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능을 추가해 직접 코드를 수정해 보세요. 폴리매스 사이트에 ... ...
[한페이지 뉴스] 14개 원소 품은 ‘슈퍼 다원소 촉매’의 탄생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뛰어나고 반응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소를 발생시키는 반응에서는 널리
사용
되는 백금 촉매를 썼을 때보다 반응이 빨랐다. 또 내구성이 뛰어나 산성 용액에서 10시간을 둬도 다공성 구조가 그대로 유지됐다.후지타 교수는 “금속 말고도 황이나 인 같은 비금속 원소를 포함한 촉매를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1만 1172자를 모두 만들어야 한다. 1900년대 중반 타자기가 도입되면서 네모꼴 글자를
사용
하기가 힘들어졌다. 1976년 조영제 서울대 미대 교수가 학술지 ‘조형’의 창간호에 ‘한글기계화(타자기)를 위한 구조의 연구’라는 제목으로 최초의 탈네모꼴 글꼴을 발표했다. 탈네모꼴 글꼴은 마치 글자의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