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특징은 괄호가 많아서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공포심을 준다는 것과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구별
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즉 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 자체를 읽어서 고칠 수 있다. 마치 사람이 사고하고 계획하는 방식 그 자체를 바꾸어버리듯이. 그리고 리스프는 설계 당시 기억장치의 한계성에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신성시하고 숭배하기 때문에 인도에 많은 수가 살고 있다.크로코다일과 앨리게이터의
구별
은 이렇게 한다. 입을 꽉 다물었을 때 크로코다일은 아래 넷째번의 이빨이 겉으로 나타나 보이는데 반해 앨리게이터는 이빨이 위턱 이와 안쪽으로 서로 맞물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앨리게이터는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원칙이란 전쟁이 불가피하게 발생했다 하더라도 사용되는 무기가 전투원과 민간인을
구별
, 전투원만 살상하는 것이라야 한다는 뜻이다. 비례성 원칙이란 전쟁의 목적에 비례하는 무기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파리를 잡기 위해서는 파리채만 사용하면 되는데도 도끼를 사용 한다면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속에서 이들은 희미한 빛 덩어리로 보이는데 작은 망원경 속에서는 각각의 별들이
구별
되어 보인다. 각 성단은 명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M36은 셋 중에서 가장 작고 가장 밀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4천1백광년 떨어진 9등급 정도의 희미한 별들이 대략 60개 정도 모여 있다. 쌍안경 속에서 그것은 가장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것인지는 아직도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무역계에서 통용되는 약품과 식품의
구별
법은 이렇다. '약전에 기록돼 있고 그 효용이 인정돼 있는 것은 약물이며 특별히 치료 목적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식용에 공하는 것은 식품'으로 간주, 수출입 요령이나 관세율에 차등을 두고 있다.반 이상이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고온에서도 녹지않는 물질로 구성돼 있으며, 태양빛을 받아 빛나기 때문에 보통의 별과
구별
하기 어렵다(기타 소행성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과학동아' 90년 10월호 참조).인류가 소행성에 관심을 갖는 가장 큰 이유는 지구와의 충돌을 걱정하기 때문이다. 지금으로부터 6천5백만 전 공룡이 절멸한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스센서류가 실용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러가지 종류의 가스와 냄새를 예민하게
구별
하는 것은 아직도 매우 어려운 기술이다. 특히 우리의 혀와 같이 맵고 짜고 신 맛과 쓴맛을 구분하는 계측센서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생체계측센서 가운데는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뱀아목으로 나뉘는데 뱀아목은 두개골이나 눈의 구조 등에서 도마뱀아목과는 뚜렷이
구별
된다. 최근에는 머리의 골격, 조직계 및 외부생식기의 모양과 구조 등을 기준삼아 뱀을 분류하고 있는데 뱀아목은 다시 13개의 과(科)로 나눌 수 있다.뱀의 몸은 비늘로 싸여 있는데 이 비늘은 하나씩 떨어지지 ... ...
자외선으로 당뇨병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 외부 침입자를 막아내는 면역계의 선봉장, T세포가 피아를
구별
하지 못하고 날뛰는 바람에 IDD환자가 발생하는 것.IDD는 성인 뿐아니라 어린이나 젊은이에게도 자주 나타난다. 서양에서는 7백명의 어린이중 1명 꼴로 발병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영양과잉에 따른 어린이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청색 동반성을 가지고 있다. 이 동반별은 그 자체가 밀(密)한 이중별인데 그 두 구성별을
구별
해보기 위해서는 지름이 2백20㎜ 이상인 망원경이 필요하다.안드로메다자리는 작은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쉬운 행성상 성운 중의 하나인 NGC7662를 가지고 있다. 6등급의 13번 별에서 보름달 정도(0.5도)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