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0,390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
수학동아
l
2017.11.27
세 지역의 박사후과정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뽑습니다. 올해 지역 부문에서는 28
개
연구기관에서 추천한 161명의 후보가 각축을 벌였어요. 허준이 박사는 50년 동안 풀리지 않던 ‘로타 추측’을 수학의 전혀 다른 분야를 이용해 증명한 공로로 상을 받았어요. 로타 추측은 모든 그래프의 특성 ... ...
‘나노영챌린지 2017’ 수상자 발표
과학동아
l
2017.11.27
나노영챌린지 2017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아주대 팀(오른쪽부터 손주이, 이현승, 노기창 씨. 왼쪽 첫 번째는 시상자로 나선 김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원천 ... 많이 줬다”고 말했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내년에도 ‘제2회 나노영챌린지’를
개
최하고 새로운 도전자를 모집한다 ... ...
레고로 코딩 배운다!...레고 부스트 체험기
2017.11.27
시대의 흐름이 맞물리면서 레고는 또 다른 가치를 갖게 됐습니다. ※ 필자소
개
최호섭. PC사랑을 시작으로 최근 블로터까지 IT 분야만 팠다. 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아까워서 들여다보기 시작한 노트북과 팜 파일럿 PDA는 순간이 아니라 인생을 바꿔 놓았다. 기술 하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역사와 ... ...
[이철민의 돈테크무비] 소니의 화려한 부활은 애완로봇 아이보로 완성될 수 있을까?
2017.11.26
분)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은 한번쯤 깊이 생각해볼 여지를 남긴다. ※ 필자소
개
이철민. 학부에서 계산통계학을 전공하고 국내 IT기업들에 재직하다 미국 유수의 MBA과정에서 경영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뒤 세계적인 경영컨설팅 회사에서 일했으며, 현재는 국내 사모펀드(PEF)에서 M&A ... ...
빨대 459
개
를 입에 문 남자 ‘세계 기록’
팝뉴스
l
2017.11.26
놓고 10초 이상 버텨야 한다. 기존의 기록 보유자는 영국인 사이먼 엘모어로 빨대 400
개
를 입에 넣은 바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임신 전 몸무게 관리는 2세를 위해 필수!
2017.11.26
연구결과는 의학 저널인 ‘비만 리뷰(Obesity Reviews)’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
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테마가 있는 영화] 우리 그냥 사랑하게 해 주세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2017.11.25
풍비박산으로 만들어 버리는 그런 인물까지 사랑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 필자 소
개
이상헌. 영화를 혼자 보는 게 전혀 부끄럽지 않은 사람. 시간은 한정적이지만 좋은 영화를 보고 싶은 당신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인생은 짧고 볼 만한 영화는 너무나 많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해독 기술 3세대로 진화… 시장 선점위해 ‘합종연횡’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필요없다는 점이다. 2세대 해독 기술은 공통적으로 DNA를 수백
개
염기 단위로 잘게 쪼
개
는 기술, 이를 화학적 기법으로 복제해 수를 늘리는 기술, 그리고 여기에서 염기서열을 읽은 뒤 재조합해 하나의 완성된 게놈을 만드는 기술이 중요했다. 이 가운데 복제는 시간도 걸리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 ...
지진 대비하려면 ‘해저 단층’ 파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본래 2025년 이후로도 운영될 예정이었다. 존슨 연구원은 “2015년 해저 단층 정보가 공
개
된 뒤 원자력발전소 운영 중지 요구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포항 지진 이후 한국도 해저 단층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포항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서 새롭게 발견된 단층 또한 해안 ... ...
유니스트 전자기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탐방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24
있지요. “드론은 활주로 없이 그 자리에서 바로 뜰 수 있어요. 또 헬리콥터와 달리 여러
개
의 프로펠러가 있어서 빠르고 정확하게 방향을 바꿀 수 있지요.” 지름이 2.2m인 실제 모션플랫폼 시뮬레이터에 탑승한 기자단 친구의 모습. - AZA studio 제공 기자단 친구들은 구 모양의 ‘모션플랫폼 ... ...
이전
1455
1456
1457
1458
1459
1460
1461
1462
14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