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스페셜
"
연구자
"(으)로 총 2,1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유전자 세 개를 합성해 약화시킨 감기 바이러스에 넣은 생백신이다. 제약회사 얀센의
연구자
들은 세계 곳곳에서 수집한 HIV의 유전자를 분석한 뒤 다양하게 짜깁기해 강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조합을 찾았다. 이렇게 짜깁기를 했기 때문에 모자이크 백신(mosaic vaccine)이라고 부른다. HIV 감염에 ... ...
안구운동 측정해 수면부족 여부 판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실제로 시각적으로 정밀한 작업을 하는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자
들은 이 결과를 역으로 활용하면 수면장애 여부 등 수면의 질도 간단히 진단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에임즈연구센터 연구팀은 미세한 안구운동의 변화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유전자의 발현량이 늘어나고 해독 능력이 늘어남과 동시에 쓴맛에 둔감해지는 것이다.
연구자
들은 이번 결과가 비만의 만연을 유발한 현대사회의 잘못된 식생활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했다. 채소를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잘 알지만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 가운데 ... ...
알파고 한계 뛰어넘는 ‘AI 자전거’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간의 신경을 닮은 ‘뉴로모픽 칩’이 대표적이다. 또 다른
연구자
들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인간 신경망이 쓰는 계산법을 그대로 따라 하게 한다. AI의 주요 기능인 기계학습은 이 방법을 따른다. 최근까지 이들 연구는 각자 성과를 냈지만 서로 호환되지 않아 통합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도덕판단과 상관없이 물건을 부수는 등의 행동이 무서워서 피한 것일수도 있지 않을까?
연구자
들은 이번엔 아이들에게 실제 파괴적인 행동 없이, 주인공을 방해하려는 시도를 하거나 행동 없이 방해하고 싶다는 말을 하는 사람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이번에도 역시 아이들은 해로운 사람을 잘 ... ...
AI전문가 월시 교수 “한국, AI 자율살상무기 금지 협약에 반대하는 국가”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금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세계 29개국 57명의 인공지능(AI)
연구자
들과 함께 KAIST가 방산회사인 한화시스템과 AI 기술을 이용해 ‘살인 로봇’을 만들고 있다며 연구협력과 교류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앞서 2015년에는 AI 국제회의(IJCAI)에서 국제연합(UN)에 제출할 AI ... ...
유행어된 '한국형DARPA'…과기정통부·국방부 누가 혁신의 아이콘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않는다. PM은 최종학위를 딴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으나 연구성과를 인정받은 30, 40대
연구자
들에게 주로 맡긴다. PM은 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연구기관을 찾아 과제를 맡긴다. 맡긴 과제의 평가도 모두 PM이 담당한다. PM 판단을 평가하지 않기 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2029년은 허블이 우주 팽창을 발표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과연 10년 뒤에는 관련
연구자
들이 동의하는 허블상수가 정해져 다들 가벼운 마음으로 100주년을 축하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누에 똥으로 중력장 증폭?" 정부 연구기관이 낸 이상한 논문 철회 '망신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수입식품분석과 주무관, 김학제 아시아태평양지구생명환경개선협회장 등 총 8명의 국내
연구자
가 참여했다. ‘기생충학 연구’는 1869년 독일 예나에서 ‘기생충 과학 저널’이라는 이름으로 창간한 국제학술지로, 과학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정식 학술지다. 세계적인 학술지 출판사인 스프링거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연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했다. 알파폴드가 압도한 단백질 구조 예측 연구에서 많은
연구자
들이 AI를 활용한 연구에 나서고 있다. AI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이 당장 신약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이같은 기술의 경쟁 속도를 고려하면 적어도 조만간 단백질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