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스페셜
"
변이
"(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이런 유전형은 어떤 이점을 줄 수 있을까. 이런 유전자들을 개별적으로 들여다보면
변이
가 생겼을 때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쳐 인지능력이 높아지고 공간 지각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집중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도의 집중력(주변 상황 무시)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대표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영장류의 진화를 재구성해보면 대략 3900만 년 전 침샘에서 아밀라아제가 발현되는
변이
가 일어났다. 그리고 인류에서만 침샘 아밀라아제 유전자수가 늘어났다. 그 결과 사람 침에는 침팬지보다 훨씬 많은 아밀라아제가 들어있다. 즉 사람 침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데 최적화된 조성이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유도신호를 감지해 반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국 이런 유전자들의
변이
로
변이
단백질이 만들어지거나 단백질은 동일하더라도 양이 달라져 뉴런의 축삭이 뻗어 나가는 방향이 바뀌면서 다른 감각 영역으로 넘어가 배선되면, 즉 시냅스가 연결되면 공감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염화칼슘 농도가 25mM인 진한 설탕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했고 그 결과 ppk23뉴런이 없는
변이
체가 진한 설탕물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ppk뉴런이 고농도의 칼슘을 감지해 신호를 보내야 기피행동이 나타난다는 말이다. 아울러 고농도의 칼슘은 단맛을 감지하는 데 관여하는 뉴런의 활동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대신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노화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유전자의
변이
를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즉 사람의 수정란을 유전자편집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화 한다면 극단적으로 노화 속도가 지연되는 신인류가 탄생할지도 모른다. 영화 ‘가타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오페론이 켜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그 메커니즘은 달랐다. 즉 RT027은 treR 유전자에
변이
가 일어나 전사억제력이 떨어진 결과이고 RT078은 ptsT 유전자를 획득해 트레할로스를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 결과다. - ‘네이처’ 제공 트레할로스 대사 과정에서 독소 많이 만들어져 그렇다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술이 약한 건가?’라고 생각하면서도 습관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당신은 Aldh2
변이
형을 하나 갖고 있다’는 보고서를 받으면 아무래도 술맛이 좀 떨어질 테고 주변에서도 술을 적극 권하지는 않을 테니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질환과 연관돼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 즉 Rac1 또는 그 신호전달 경로에 있는 유전자에
변이
가 있을 경우 능동적인 망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회성(융통성)이나 학습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 기억 품질 관리는 자기 하기 나름 이처럼 고유망각을 비롯한 다양한 능동적 망각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있다. 스포츠에서도 인간의 한계는 감지되고 있다. 육상기록(연도별 상위 10위 까지)의
변이
추세로 1980년대 이후 정체돼 있다. 위는 여성, 아래는 남성으로 파란색은 800m, 녹색은 높이뛰기, 주황색은 포환던지기다. - 생리학의 경계 제공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100m 9초58 기록을 세운) 우사인 볼트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인체를 숙주로 여겨 영양분만 빨아먹고 자기 증식에만 열중하는 기생충 같은 존재가 된
변이
세포가 모인 덩어리이기 때문이다. 오늘 아침 신문을 보니 북한 병사 기생충 보도에 구충제 판매량이 두 배 늘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구충제를 복용한 게 언제인지도 모를 정도인 필자도 이참에 한 번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