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스페셜
"
변이
"(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현병 일으키는 유전자 413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연구를 이끈 로라 허킨스 유전학및유전체학과 교수는 "조현병과 연관된 유전자와
변이
를 새롭게 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유전자가 비정상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영역도 정확히 알아냈다"면서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해 조현병을 예측하거나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사는 곳과 환경이 달랐음에도 세 곳의 토끼는 DNA속 비슷한 위치의 면역 관련 유전자가
변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에게서 생산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인 인터페론의 활성화 정도가 높아진 것이다. 연구팀은 “세 국가에서 바이러스 저항을 위한 진화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2019.01.22
101세까지 사셨다). 그리고 운도 김 교수의 편인 것 같다(심각한 사고나 임의의 돌연
변이
로 인한 암 발생 등을 피했다). 백년을 산다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그러나 정작 김 교수는 책에서 “일은 목적이고 건강은 수단”이라면서도 “건강이 일을 도왔는지 일이 건강을 도왔는지 묻고 싶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개체를 골라낸다. 기능이 향상된 효소를 찾아내면 여기에 다시 돌연
변이
를 가해 돌연
변이
를 누적시킨다. 이를 반복하다 보면 원하는 방향으로의 진화, 방향적 진화가 이루어진다. 진화가 다윈의 ‘자연 선택설’을 따른다면 방향적 진화는 ‘부자연 선택설’을 따르는 셈이다. 탄소수소(C-H)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부분을 규명했다(SD36과 SD38). 그리고 B형 독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줄기와 갓임에도
변이
가 적은 부분을 항원으로 하는 작은 항체 두 종을 골라 각각의 나노항체 부분을 규명했다(SD83과 SD84). 독감 바이러스 3종과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 2종으로 만든 백신을 라마에 접종해 유도한 항체들에서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우리 뇌 발달에 치명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변이
는 두개골 뒷부분을 약간 덜 둥글게 만들 뿐 뇌 기능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가진 현대인은 뒤통수가 튀어나오긴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섭취량은 권장량의 절반에서 3분의 2 수준이다. 콜린 결핍은 DNA 손상과 후성유전학적
변이
를 일으키고 뇌 발달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가 익숙한 타우린(taurine) 역시 인체에서 만들기는 하지만 양이 적어 음식으로 보충해줘야 한다. 타우린 부족은 다양한 질환에 걸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토마토의 특성을 부여한 것이다. 지난 수년 사이 토마토 작물화 과정에서 일어난 게놈
변이
가 많이 밝혀졌기 때문에 이런 접근이 가능해졌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시간은 줄일 수 있을지 몰라도 어차피 같은 결과물이 나오는 것 아닐까. 그렇지 않다. 게놈 차원에서 보면 기존 전통 육종법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시아노박테리아가 내보내는 아미노산 BMAA가
변이
단백질을 만들어 여러 신경퇴행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BMAA를 많이 함유한 식재료를 찾는 연구가 진행됐 상어지느러미에 BMAA 농도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샥스핀 스프. - 위키피디아 제공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발견했고 호모 사피언스 사이(현대인 50명)에는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즉 이
변이
가 호모 사피엔스의 언어능력 획득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둘 사이에 비록 동일한 단백질이 만들어지지만 발현량이나 패턴이 달라 뇌의 회로나 발성기관의 구조에 차이가 났고 그 결과 호모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