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상을 박차고 우주로 비상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도심 가까이 자리 잡고 있는 한국항공대. 정문을
통과
하자마자 이색적인 풍경이 펼쳐졌다. 활주로 위로 뽀얀 먼지를 날리며 경비행기가 사뿐히 착지했고, 귀를 때리는 비행기 엔진 소음이 마치 공항에 온 듯한 착각을 일으켰다. 로켓연구회의 동아리방은 활주로를 따라 걷다보면 보이는 커다란 ... ...
고산 미스터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받았다.게다가 3월 17~18일 까지 진행된 최종 우주인 종합평가를 두 사람 모두 문제없이
통과
한데다가, 고 씨가 예비우주인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만에 하나 탑승 전 이 씨에게 문제가 생길 경우 고 씨가 임무를 대신할 수도 있다.일부 네티즌 가운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이번 교체가 고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말이 이 풀잎을 먹을 때 동물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포자는 자연히 동물의 위나 장을
통과
하면서 강한 산 덕분에 두꺼운 껍질이 벗겨진다. 말똥이나 소똥에 섞여 땅에 떨어진 포자는 발아한 뒤 얼마쯤 지나면 똥이나 그 주변에서 버섯이 난다. 버섯은 소나 말이 이동한 거리만큼 자신의 포자를 ... ...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시뮬레이션했더니 수문 바닥의 모양만 변화시켜도 기존 수문보다 물을 30% 정도 잘
통과
시켰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가로림만과 인천만 조력발전소에 적용될 수 있다.이들은 양식장의 피해를 걱정하던 주민들에게 방조제로 바닷물을 막으면 물살이 잔잔해져 오히려 양식하기 좋아진다는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코로 들이마신 공기는 인두를
통과
해 후두를 거쳐 폐로 간다. 후두덮개는 음식이 혀를
통과
하는 것과 동시에 후두 입구를 닫는다. 음식물이 폐로 들어가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혀가 폐를 보호하는 셈이다.만약 음식물이 폐로 들어가면 흡인성 폐렴에 걸린다. 이는 치사율이 높은 병이다. 정상인의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한국천문연구원은 2007년 2월 28일 지름 20cm급 천체망원경을 이용해 우리나라 상공을
통과
하는 ISS를 촬영한 적이 있다. 저녁 7시 4분 13초부터 11~35초 간격으로 촬영했는데, 사진에 잡힌 ISS 모습은 뿌옇게 형태만 간신히 알아볼 수 있을 정도였다.보현산천문대와 소백산천문대에 천체 촬영 목적으로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확인했다 1858년 6월 2일에 도나티(Donati)가 발견한 혜성 1859년 9월 29일에 근일점을
통과
했으며 꼬리의 길이는 50°에 달했다주기는 약 1900년으로 추산되었다1926~미국의 물리학자 1946년에 케이스 공과대학 졸업, 1949년에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같은 해 미시건 대학 교수, 1959년 캘리포니아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낙스(NOx)와 삭스(SOx)가 배출되는 통로에 플라스마 발생장치를 부착하면 배기가스가
통과
하면서 낙스와 삭스가 무해한 물질로 분해된다. 연구를 총괄하는 노태협 박사는 “플라스마를 구성하는 고에너지의 전자가 유해화합물을 분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현재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세포에는 소금기가 많아 삼투압 현상에 따라 물을 잘 빨아들인다. 삼투압 현상이란 물이
통과
하는 막을 사이에 두고 농도가 서로 다른 물이 있을 때 농도가 낮은 쪽의 물이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태안에서는 칠면초, 지채, 퉁퉁마디 등의 염생식물을 볼 수 있다.*암염 : ... ...
지웠다 쓰는 홀로그래피 나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술이 개발됐다.홀로그래피란 물체를
통과
하는 빛의 정보를 고분자에 기록해 물체의 영상을 3차원으로 재현하는 기술로 입체안경이 없어도 볼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고분자의 화학반응으로 영상을 저장했기 때문에 한번 기록하면 지울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