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d라이브러리
"
우선
"(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증거, 그리고 이웃 주민의 증언을 반박하는 확률적인 계산을 제시했다.무고한 변호사는
우선
검사의 오류에서 지적한 것처럼 유전자 검사 결과가 일치할 때 범인일 확률은 고작 10%이므로, 피고가 무죄일 확률은 90%나 된다고 주장했다. 또 발자국 크기가 같은 사람은 수없이 많기 때문에, 1000명에 한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방공망을 선제공격해서 무력화시키는 작전(SEAD)이 가장 대표적인 임무다.이를 위해서는
우선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춰야 한다. 적의 GPS 교란 시도를 무력화해야 하기 때문에 지형지물을 읽고 스스로 위치 파악을 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이런 무인전투기는 여러 대가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개와 같은 종이기 때문에 막연히 비슷하리라 추측만 하고 있었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우선
로드 교수팀은 11마리의 늑대 새끼들로 오감이 발달하는 순서를 관찰했다. 둘째 주에 후각, 넷째 주에 청각, 그리고 여섯째 주에 시각이 순차적으로 발달했다. 강아지의 오감 발달과 큰 차이가 없었다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뇌에 보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쥐를 대상으로 유전자 조작 및 몇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유전자 조작 쥐를 만들어 MrgA3 세포가 가려움이나 고통에 반응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자극에 따른 쥐의 반응을 살폈다. 이후 MrgA3 세포를 완전히 제거한 쥐를 같은 방법으로 고통과 가려움 자극을 주며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우리 집은 화재에 안전할까.화재 인명사고는 ‘진짜’ 인재(人災)다하나만
우선
짚고 넘어가자. 자연재해나 재난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단골 키워드는 ‘인재(人災)’다. 충분히 미리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만시지탄’을 빗댄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지난해 여름 집중폭우로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하다. 정 사무처장은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하려면 지역주민들이 잘 사는 것이 최
우선
”이라고 강조했다. 생활이 궁핍하지 않아야 자발적으로 자연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다. 정 사무처장은 “깨끗한 자연환경을 유지해야 관광객 유입이 늘고, 마을 수입도 는다는 사실을 ... ...
단추 채우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할 수 있을 거고 단추도 서른 번쯤 풀어헤치고 회사 문을 왔다갔다 할 수도 있을 거예요.
우선
한숨 돌리는 거죠.”“…….”“상식적으로 생각해 봐요. 인생에서 뭐가 중요한지. 어쨌든 댁은 이 현실에서 살아야 하잖아요.”“…….”“할 수 있어요. 대단한 일이 아니라고요. 조금만 노력해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얻을 수 있다.화성 상공을 날아서 탐사하는 무인기를 만들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우선
어느 정도의 속도로 비행해야 하는지 살펴보자. 화성의 대기 밀도는 지구의 100분의 1 수준이다. 중력은 지구의 약 3분의 1 정도여서 지구에서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가 화성에서 비행하려면 지구 비행 속도의 ... ...
용의자 X의 수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예를 들어 보자.문제는 수가 커졌을 때다. 아무리 슈퍼컴퓨터가 있어도 수가 커지면
우선
소수를 다루는 것이 어렵다. 아주 큰 짝수가 소수 두개의 합이라는 것을 증명했다고 해도 이것이 일반적인 증명은 아니다. 영화 대사처럼 사실이라는 심증만 더해질 뿐이다. 참고로 현재까지 4x1018의 수까지만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0만 년 전부터 남을 도운 인류인류는 언제부터 이런 특이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을까요.
우선
멸종한 친척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에게도 이런 흔적이 보입니다. 20세기 초 프랑스의 라샤펠오생에서는 이상한 네안데르탈인 화석이 발견됐습니다. 이 화석은 뼈가 심하게 구부러져 있었는데, 처음에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