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1%밖에 줄지 않았다. 그런데 무게는 절반이나 줄다니, 어떤 비밀이 숨겨진 것일까?우선 100파운드 감자의 수분함유율이 99%라면 물이 99파운드, 고체의 감자가 1파운드이다. 수분이 증발해도 1파운드의 고체는 증발하지 않으므로, 고체의 감자는 여전히 1파운드다. 그리고 증발이 일어난 뒤 감자의 ... ...
- 우리는 수학 게릴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마치 게릴라처럼 체험전을 열기 때문이다.수학 체험전을 진행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기 초에 모두 모여 매달 진행할 체험전 주제를 정한다. 지난 3월부터 지금까지 매달 ‘파이’와 ‘소수’, ‘방정식’ 등을 주제로 정했다. 그런 뒤에는 조별로 각 주제에 맞는 수학 체험을 준비한다.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보다는 ‘길목 차단’으로그렇다면 잘못된 신경회로를 어떻게 끊을 수 있을까. 우선 이제까지 뇌수술을 어떻게 해왔는지 살펴보자.그 동안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뇌 부위를 직접 공략했다. 뇌에는 기능별 구역이 있다. 서울 지도를 펼쳐 명동은 쇼핑, 광화문은 관광 등으로 구분하는 것과 비슷하다. ... ...
- 네안데르탈 학당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네안데르탈인이야!”만약 누군가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우선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잘 몰라 칭찬인지 흉인지 고개를 갸웃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유럽 대륙에서 약 50만 년 전부터 2~3만 년 전까지 살던 친척 인류입니다. 먼 아시아에서 나고 자란 한국 ...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때문에 탐구주제를 스스로 잘 끌어내지 못하고 종종 한계에 부딪칩니다.이를 극복하려면 우선 호기심을 가지세요. 관찰력을 키워보고요. 또 모방을 두려워하면 안됩니다. 그런 다음에야 비로소 새롭고 흥미로운 탐구주제를 생각해낼 수 있을 겁니다.김예지 교수님께서 학생들에게 강조하시고픈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만 달러(약 22억 원)의 상금을 준다. 물론 상금보다는 ‘세계 최고의 로봇’이라는 명예가 우선이겠지만.먼저 왼쪽의 7개 미션을 살펴보자. 밸브를 잠그고, 장애물을 치우는 정도라면 어느 정도 여지가 있다. 요리를 하거나, 음식접시를 배달하는 로봇은 이미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망치로 벽을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생물로 여겨져 온 ‘나그네쥐’의 신비한 수학 능력을 공개하겠습니다.그 전에 우선 영국 옥스포드대 수학과 교수 마커스 드 사토이 씨가 보내온 희귀한 영상을 먼저 확인하시죠.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지는 나그네쥐의 비밀나그네쥐는 북극과 툰드라 지역에 사는 설치류 동물이다. 그런데 귀엽게만 ... ...
- INTERVIEW 노벨상 수상자 하랄트 추어 하우젠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자궁경부암 사이의 희미한 연관관계를 놓치지 않은 것이다. 추어 하우젠 박사는 우선 발바닥에 생기는 사마귀에서 추출한 HPV의 DNA 가닥을 탐침으로 사용했다. HPV는 발바닥뿐만 아니라 성기 주변에도 종종 사마귀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DNA는 두 개의 가닥이 서로 결합하기 때문에 이 원리를 ... ...
- ➏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건축시공뿐만 아니라 건축역사, 환경, 도시 설계 등 다양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배워요.우선 뭘 연구하고 싶은지를 잘 생각해봐요. 그리고 연구하고 싶은 게 떠오르면 관련한 모든 정보를 한 번 찾아봐요. 요즘은 인터넷 덕분에 자료를 쉽게 많이 구할 수 있어요. 그리고 찾은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의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사례들이다.폭발성 강한 마그마가 대량으로 지표 아래 모이면…슈퍼 화산이 생기려면 우선 우리가 보통 접하는 작은 규모의 화산 폭발은 드물어져야 한다. 많은 양의 마그마가 지각에 쌓여야 하기 때문이다.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려면 지각의 응력이 작은 지진들로 분산되지 않고 오랜 기간 쌓여야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