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밝혀진 X자 은하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8억 광년 떨어진 곳엔 특이한 은하 ‘PKS 2014-55’가 있어요. 대부분의 은하는 블랙홀에서 나온 물질이 직선 모양이지만 PKS 2014-55는 블랙홀을 중심으로 뿜어져 나온 물질이 X자 모양을 하고 있어요. 천문학자들은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블랙홀이 있다고 생각해요. 블랙홀은 엄청난 중력으로 모든 ... ...
- [가상인터뷰] 치타 닮은 소프트 로봇, 리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나는 기존에 개발된 소프트 로봇보다 빠른 것이 특징이지. 땅이든 물속이든 어느 곳에서든지 말이야. Q. 다른 로봇보다 빠르다고?응. 기존에 개발된 소프트 로봇 중 가장 빠른 소프트 로봇은 딱딱한 지면에서 1초 동안 자신의 몸길이의 0.8배 정도 움직일 수 있었어. 하지만 난 1초에 내 몸길이 약 ... ...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미국의 대통령 관저로 우리나라로 치면 청와대와 같은 곳이에요. 2020년 11월 3일은 백악관의 주인을 새롭게 결정하는 미국의 대통령 선거 날인데요, 과연 백악관에 입주하게 될 사람은 누구일까요? 궁금증을 한가득 가지고 백악관을 만들어봅시다. ※ 편집자 주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다양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있는 사람들끼리 하는 소규모의 세미나 혹은 워크숍에서 이뤄지기 마련입니다. 그런 곳에서 좀 더 부담 없이 의견을 주고받다보면, 발표 중간에 새로운 결과가 나오기도 하죠.중요한 건 수학자가 되기 위해선 발표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나라마다 또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대부분 수학 ... ...
- [이달의 수학자] 집단 지성의 힘을 믿는 수학자, 티모시 가워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리잡았고, 수학동아와 미국 매사추세스공과대학교(MIT) 등 많은 곳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가워스 교수는 더 나아가 수학 지식을 널리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일반인들이 수학 지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학 논문을 무료로 볼 수 있는 홈페이지를 ... ...
- [한페이지 뉴스]사막 공기에서 물을 뽑을 수 있을까? “YES”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흡수력이 큰 재료를 찾고 장치를 휴대할 수 있게 구현하면 사막 등 물이 필요한 다양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16/j.joule.2020.09.008김소연 ...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근접 비행하며 눈이 덮인 것처럼 꼭대기가 흰 산맥의 사진을 보내왔다. 사진이 찍힌 곳은 명왕성 적도 부근 크툴루 지역의 산꼭대기로, 고도 1.5km부터 산 정상인 고도 3.5km까지는 ‘서리’가 덮여 있었다. 최근 이 서리의 구체적인 조성과 생성 과정이 밝혀졌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해서, 국내 심각한 미세먼지 문제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24시간 내내 한 곳만 바라보는 정지궤도위성에 환경탑재체가 실린 건 전 세계 최초다. 상공 3만6000km에서 대기 정보를 담은 약한 빛을 인식할 장치와 기술이 그동안 없었기 때문이다. 환경탑재체의 영상은 10월 30일 최초로 공개됐다.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이제 외계행성을 찾아 먼 우주로 떠나는 마지막 장면을 써야겠어! 그런데 우주 멀리까지 가려면 엄청나게 오래 걸릴 텐데 어떻게 더 빠르게 갈 수 있을까? 이런 것도 연구하는 사람이 있으려나?우주 탐사의 최종 목표 중 하나는 태양계를 넘어 먼 우주로 떠나는 거예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저장해요. 그리고 이를 양분을 운반하는 통로인 체관으로 뿌리, 줄기, 잎, 열매 등 필요한 곳에 보내지요. 이 과정을 거쳐 식물이 자라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거예요. 한편,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산소는 잎의 기공으로 빠져나가 다른 생명체들이 호흡하는 데 쓰인답니다.그렇다면 빛이 강하고,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