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Q기억에 남는 북극 탐험 에피소드가 있나요?북극에서 해빙 연구를 할 땐 일주일간 한 곳에 머물고 관측기를 설치해요. 일부는 수거하고, 나머지는 바다에 묻거나 해빙 위에 올려두고 오죠. 그런데 지난 탐험에 북극곰과 헤프닝이 있었어요. 설치해둔 기기에서 데이터를 받는데, 갑자기 끊긴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설치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는 점이다.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 등 경제적으로 어려운 곳에서는 비용 문제로, 남극이나 사막은 극한 환경조건 때문에 설비가 어렵다. 다음 문제는 속도다. 비록 레이저 신호를 이용하지만 실제 데이터는 빛의 속도로 전달되지 않는다. 광섬유의 특성상 광케이블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제안도 조금씩 들어왔다. 최선을 다해서 한 건을 무사히 마무리하면 그 글을 읽은 다른 곳에서 제안이 들어왔다. 일이 없는 시기에는 공부를 했다. SF는 과학과 느슨하게 관련이 있지만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새로운 분야이기도 했다. SF의 고전, 명작이라고 불리는 책들을 쌓아놓고 읽으며 공부했다. ... ...
- [일본유학일기] 시험공부 도와주는 도쿄대의 비밀 무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듣고, 3학년 때 학과가 정해진다. 3학년 때부터는 학과에 따라 시케타이가 없는 곳도 있다. 다행히 내가 속한 전자과는 시케타이가 있다. 심지어 2000년대 초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놨고, 이는 대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여기서 과거 시험 문제와 당시 시케타이들이 작성한 모범답안, ...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움짤은 사진을 예쁘게 꾸미고 친구들과 재미있게 이야기를 나눌 때에만 필요한 줄 알았는데, 과학자들도 쓰고 있었네! 앞으로는 ‘움짤’이 어떻게 진화할까? ... 움직임을 줬지요. 포토 웨이크업 기술을 응용하면 게임 개발자가 3D 캐릭터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곳에서도 쓰일 수 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오, 메흐씨, 메흐씨(Merci, 고맙습니다)! 그게 좋겠군요. 제 소행성이 살기 좋은 곳이 되면, 나중에 탐정님도 놀러 오셔요!”떠나는 어린 왕자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꿀록 탐정이 비행 조종사에게 물었어요.“그런데 있잖아, 어린 왕자님이 처음 들어오면서 뭐라 말씀하신 거야?”“‘내 친구가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입자가 움직이지요. 두 진공관에서 반대로 움직이던 입자들은 가속기의 특정한 지점 몇 곳에서 만나 충돌해요.여기서 잠깐! 여러분이 작은 모래 두 알을 양손에 들고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던져 충돌시키려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매우 성공시키기 어려운 실험일 거예요. 모래알을 충돌시키기도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과도한 난방으로 인해 밀려오는 졸음을 조심해야 합니다. 추운 곳에 있다가 따뜻한 곳으로 가면 신체가 따뜻한 기온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신진대사가 활성화되고, 호르몬 분비와 혈관이 확장되며 혈액순환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 결과 피로가 나타납니다. 이와 같은 증상은 점심 식사 후에도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20m의 눈보라 등을 보면 주머니 속 카메라를 꺼낼 수밖에 없습니다. 절로 눈이 돌아가는 곳이죠. 하지만, 남극은 기상이 변화무쌍해 승조원으로서 긴장을 놓을 수 없습니다. 제 임무는 안전한 연구와 보급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늘 연구자들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 책도 많이 읽고 영화도 많이 보죠. 또 매일 한 시간씩 다양한 곳을 산책하며 눈에 보이는 것을 토대로 상상의 나래를 펼칩니다. 이야기가 머릿속에서 완성되면 기획안을 만들어 이야기에 구멍이 없도록 더욱 완성도를 높여요. 기획안에는 기획할 방의 공간을 어떻게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