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달 표면 지질 지도를 공개했어요. 달 표면 전체의 지질 정보를 하나의 지도로 나타낸 건 이번이 처음이지요. 공동연구팀은 아폴로 계획에서 6번의 달 착륙을 통해 그린 달 지도와 달 표면에서 얻은 정보, 그리고 수십 년간 달의 지형에 대해 쌓아온 정보를 모았어요. 북극과 남극 지형의 높낮이는 ... ...
- [기획] 사건2. 유력 증거 확인 기회 놓친 유학생 살인 사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3월 무죄 석방됐어요. 수학적 오류 반복된 확률 실험에 관한 오해헬만 판사가 이 사건에서 범한 실수는 같은 실험을 두 번 시행했을 때 얻는 확률적 결과를 오해한 데 있었어요. 헬만 판사는 신뢰도가 낮은 두 시료의 검사 결과를 합쳐도 신뢰도가 높아질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사실 결과가 ...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답이 나오지 않는 질문에 금방 포기했더라면요? 좋은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가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과학동아는 미래 과학자를 꿈꾸는 독자들이 이런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과 함께 ‘궁극의 질문’ 공모전을 시작했습니다. 노벨상이 될 만큼 독창적인 질문, 인류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찾아낸 공로로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노벨물리학상을 여성 과학자가 수상한 건 마리 퀴리(1903년·방사선 연구), 마리아 괴퍼트 메이어(1963년·핵 껍질 구조 연구), 도나 스트리클런드(2018년·고감도 레이저 기술 개발)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에 이어 네 번째다.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학부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람이 반경 10m 안에 들어오는 순간, 알람이 울린다.좋알람처럼 상대방의 마음을 읽는 건 현실에서는 초능력에 가깝다. 대신 현실에서는 사람의 감정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표정을 인식해 상대방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인공지능(AI)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인공감성지능(AEI)이라 한다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대성공에 잭키 님이 시무룩해졌습니다.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성취감도 있는 건데, 처음부터 대성공이니 맥이 빠집니다. 이제 남은 찰흙은 112발. 이거 다 쏘고 집에 가려고 했는데, 결과는 더이상 좋아질 게 없습니다. 잭키 님께 맛난 실패를 제공해주실 분은 유튜브 긱블 채널에 댓글로 기발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보세요.”꿀록 탐정은 야수 왕자를 다독였어요.“흑흑…. 제가 저주에 걸려 야수로 변한 건…, 알고 계시죠? 진정한 사랑을 찾아야 원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해서…. 성을 예쁜 장미꽃으로 꾸며 봤어요. 이렇게 꾸미면 사람들이 성을 찾지 않을까 해서요…. 그런데 꽃이 잘 자라지 않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통해 발표를 몇 번 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했던 발표 중 가장 재밌었던 건 2018년 영국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에서 했던 ‘영국 수학 콜로퀴움’입니다. 그때 ‘스피드 렉처’라고 해서 5분이라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자신의 연구 주제와 결과를 소개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대결해보니AI가 판례를 분석하고 환자도 보는 세상이라지만 수학 문제를 직접 보고 푸는 건 또 다른 영역이 아닌가. 10년간의 과외 경력으로 ‘수학부심’ 있는 기자는 AI의 수학 문제 풀이 실력에 호기심과 의구심을 품었다. 구글이 ‘홈워크(HomeWork)’를 출시하기 전이니, 시중에 개발된 AI 수학 문제 ... ...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실험으로 측정해낼 것” 에너지 퍼짐 현상 연구가 양자 거리 연구로 이어질 것이라는 건 연구팀 중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기존 이론에 따르면 평평한 에너지띠를 가진 고체에 자기장을 걸어도 운동량에 따른 에너지 준위 변화가 없는 평평한 에너지띠를 계속 유지해야 했다. 이를 뒤집는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