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6년, 중·고등학교 6년, 12년간 공부한 결과를 보여 줘야 하는 수능. 긴장이 되는 건 당연한 일일 겁니다. 그런 여러분에게 작년 수능 필적확인란에 있던 문구를 전하고 싶네요.“수험생은 여러분들은 ‘너무 맑고 초롱한 그 중 하나 별’입니다. 힘내세요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다. 11월 6일 기준 메드아카이브에 게시된 ‘COVID-19’ ‘SARS-CoV-2’ 관련 논문은 총 8351건이다. ●동물 내 미확인 바이러스 170만 종●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 82만 7000종 코로나19는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전염되는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다. 박쥐 몸속에 있던 바이러스가 천산갑으로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 그는 스스로를 ‘캐글 중독자’라 칭했다. 하지만 그가 어렸을 때부터 AI를 공부한 건 아니었다. 그의 대학 전공은 화학생명공학이었다.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 9단과 세기의 대결을 펼치기 전까지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도가 순수한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또 단편을 써달라는 의뢰와 소규모 강연 제안도 조금씩 들어왔다. 최선을 다해서 한 건을 무사히 마무리하면 그 글을 읽은 다른 곳에서 제안이 들어왔다. 일이 없는 시기에는 공부를 했다. SF는 과학과 느슨하게 관련이 있지만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새로운 분야이기도 했다. SF의 고전, 명작이라고 ... ...
- 빙하 감시단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다 채우지 못하는 게 아닐까 조마조마했어요. 매일 기름 잔여량을 확인해가며 탐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Q계획한 연구를 다 마치셨나요?네! 오랜 시간 탐사하며 쌓아온 노하우가 있거든요. 또, 연구원들이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잠을 아껴가며 연구한 덕분이죠(웃음). 남극의 여름은 밤에도 ... ...
- [과학뉴스] 스페이스X, 첫 유인 우주선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5월 31일,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가 민간기업 최초로 우주비행사를 태운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의 발사에 성공했어요. 국제우주정거장(ISS)과의 ... 임무를 수행한 뒤 크루 드래건을 타고 지구로 되돌아 올 예정이지요. 그 후, 크루 드래건은 ISS 유인 운송 수단으로 인증받게 된답니다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혁신 기술과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무장한 신생 기업인 ‘스타트업’을 소재로 한 드라마가 나왔다. 한 번도 발을 담가본 적 없는 누군가에겐 미지의 세계지만, 다른 누군 ... 진행 중인 만큼, 쟁쟁한 스타트업 사이에서 당당히 중심을 꿰차고 성공 가도를 달릴지 지켜보는 건 어떨까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 있는지였죠. 그 셋을 모두 충족하는 직업이 헬스트레이너였습니다. 이 중 첫 번째 조건은 제가 수학 교사였어서 더 잘 충족할 수 있었습니다. 헬스장에서는 몸의 상태를 알기 위해 ‘인바디(InBody) 측정’을 합니다. 헬스트레이너인 저는 이 결과를 보고 운동 프로그램을 짜는데, 이때 수학적으로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최대 핵융합 실험로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가 본격적인 장치 조립에 돌입한 건 고무적인 일입니다. 12월호 특집 기사를 준비한 이병철 기자는 이처럼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핵융합 상용화 기술을 집중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먼저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초전도 핵융합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문화 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이미지로 제공된다. 또한 지도를 보며 다양한 사건들을 되짚어 보고 토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한 예로 2013년, 2019년 숭례문 주변 지도를 비교해 문화재의 소중함을 느끼고 공공의식을 높이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