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1,33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밖 8000광년 외계위성 추정 천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이 천체를 관측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284
개
를 분석하던 중, 케플러-1625b만 위성을 가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허블망원경의 초점을 케플러-1625 항성계에 맞춰 관찰을 계속했다. 위성으로 추정되는 천체가 발견된 외계행성 케플러-1625b-i를 ... ...
“토성 고리에 물보다 유기물이 더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美 우주탐사선 ‘카시니호’가 발견… 9
개
중 가장 안쪽 ‘D고리’서 확인 “얼음이 주성분” 기존 학설 뒤집어 토성을 둘러싼 둥근 띠는 오랫동안 ‘신비로운 ... 사실을 확인했다. 영국 임피리얼칼리지 소속 과학자들은 토성은 지구와 달리 여러
개
의 자기장이 둘러싸고 있음을 발견했다 ... ...
"창업하고 싶다면 누구나 오세요"…지원대상 울타리 없앤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근무했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학교 울타리를 넘어 창업을 희망하는 국민에게 문호를
개
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이후 9년 만이다. 세 사람은 상금 900만 스웨덴 크로네(약 11억2400만원)이 수여된다. 두
개
주제로 수상한 만큼 아놀드 교수가 반을 갖고 나머지 두 사람이 반반씩 나눠갖게 된다. 시상식은 알프레트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생리의학·물리·화학·경제학상)과 노르웨이 오슬로 ... ...
생명진화의 힘을 유용한 도구로…美英과학자 3인 노벨화학상 수상(종합)
2018.10.03
최초로 항체 치료제 ‘아달리무맙’으로 만들어진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휴미라’
개
발을 이끌어 냈다. 이 약품은 현재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으로 유명하다. 박태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결국 두 연구는 좋은 단백질을 찾아내 의약이나 화학반응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 ...
노벨화학상 유도진화·항체합성 방법 알아낸 美아놀드·스미스·英윈터 수상(3보)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반응기술이다. 세 사람에겐 상금 900만 스웨덴 크로네(약 11억2400만원)이 수여된다. 두
개
주제로 수상한 만큼 아놀드 교수가 반을 갖고 나머지 두 사람이 반반씩 나눠갖게 된다. 3일 노벨화학상 수상자를 끝으로 올해의 과학부문 노벨상 수상자는 모두 발표됐다. 이어 5일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 ...
저당 잡히고 도둑 맞고…노벨상 메달이 사라진 '아찔한'순간들
과학동아
l
2018.10.03
있던 닐스보어연구소는 중대한 결정을 내렸다. 당시 연구소은 노벨 물리학상 메달 두
개
를 보관하고 있었다. 나치에게 이를 뺏길 것을 염려한 헝가리 화학자 게오르크 카를 폰 헤베시는 메달을 진한 염산과 진한 질산을 혼합한 용액인 ‘왕수’에 녹여 연구실 선반에 보관했다. 덕분에 메달은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차 산업혁명을 완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라며 “양자컴퓨팅 IRTC를 통해 기술
개
발과 인력양성은 물론, 관련기술 산업화의 기반 역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박사에게 돌아갔다. 또 2014년 노벨 물리학상은 청색 발광다이오드(LED)를 최초로
개
발한 아카사키 이사무 일본 메이조대 교수와 아마노 히로 나고야대 교수, 나카무라 슈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교수가 차지했다. 같은 해 노벨 화학상은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만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문득 든다. 물론 이런 초(ultra)장기 프로젝트가 진행될 일은 없겠지만. ※ 필자소
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 ...
이전
1444
1445
1446
1447
1448
1449
1450
1451
1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