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에너지"(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2017.07.18
- 경향에 더 취약할 수 있다. 뇌의 무게는 몸무게의 2%에 불과하지만 에너지 소모량은 전체 에너지 소모량의 20%나(쉬고 있을 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머리를 쓸 일이 없으면 뇌가 정말로 쪼그라든다(즉 신경생성이 줄어들고 시냅스가 끊어진다). 사람은 뇌가 유난히 큰 동물이지만 그렇다고 우리 뇌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돌아갈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미국은 IT (애플,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에 이어 최근 에너지 분야에서도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전기차 혁명을 이끌고 있는 테슬라의 엘론 머스크는 로켓재활용이라는 꿈같은 아이디어를 실현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우리나라의 탈석탄 탈원전 꿈이 현실이 되느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7.06.27
- 관측함으로써 전자-양전자 쌍의 소멸 빈도를 추정한다. 즉 전자의 질량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갖는 감마선(0.511MeV(메가전자볼트))의 피크를 보고 양전자의 개수를 추정할 수 있다. 1970년대 이미 이런 측정이 이뤄졌고 그 결과 우리 은하에서만 이런 엄청난 숫자의 양전자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포획된 전자의 개수도 늘어난다. 이 물질을 500도가 넘는 고온에 두면 포획된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탈출하면서 빛을 낸다(열발광). 이때 빛의 세기를 측정해 시료의 연대를 추측한다. 불에 탄 부싯돌이 좋은 시료인 이유는 불의 열기로 결정 결함에 잡혀있던 전자가 다 빠져나가 ‘영점조절’이 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모른다. 폰처 교수는 “에너지는 생물학의 모든 영역에서 핵심”이라며 “삶은 에너지를 자손들에게 전환하는 게임으로, 생물의 모든 특성은 칼로리를 소모할 때 얻는 대가를 최대화하기 위해 자연선택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 식욕 조절이 관건 운동이 살 빼는데 별 효과가 없다는 사실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2017.05.30
- 떠올려 보라. 반면 목재는 나무를 베어다 적당한 크기로 잘라 붙여 CLT를 만들면 되므로 에너지가 훨씬 덜 들어간다. 목조 건물 자재를 준비하는데 들어가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같은 크기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12%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2014년 캐나다 노던브리티시컬럼비아대에 지은 30미터 높이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2017.05.02
- 때문이다. 물론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인들의 불만도 상당하기 때문에 중국 정부도 대체에너지 개발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지만(조만간 독일을 제치고 태양광 발전 1위가 될 전망이다) 편리한 삶에 대한 욕구도 워낙 커 앞으로 미세먼지 배출이 늘지만 않아도 다행일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동아사이언스 l2017.04.16
- 존재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겉으로 보기엔 별개인 단층이 어떻게 연결돼 에너지를 주고받는지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결과 조류(algae)와 식물이 나왔다. 한편 이들 세 그룹의 산소호흡, 즉 당을 산소로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자 각자 계열이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즉 산소호흡은 세 그룹이 나뉜 뒤 독자적으로 진화했다는 말이다(역시 유전자수평이동을 통해 관련 유전자를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그래서 토양도 점점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고 합니다. 토마스 크로서 미국 예일대 기후에너지 연구소 박사는 지난해 12월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땅 속 탄소 배출량 증가는 이미 시작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연구는 미국의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