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에너지"(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1.15
-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낸 일이다. 다만 이 X선 회절 결정구조 분석법도 약점이 있다. 에너지가 강한 X선을 투과했을 때 분자와 분자를 이루는 원자들이 크게 흔들리지 않고 구조를 유지해야 하기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분자는 분석 하기가 어려웠다.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질량이 가벼울 때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양극과 음극이 연결되면 음극의 전자가 양극으로 이동하면서(전류가 흐르면서) 제품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때 음극의 리튬은 이온으로 떨어져 나가 전해질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해 전자를 받아 다시 원자로 바뀐다. 전형적인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를 도식화한 그림으로 음극(anode)은 흑연(C),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2017.01.04
- 올해 6월까지 11년 동안 봉직했다. 역시 이곳에서도 건물 곳곳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해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데 신경을 썼다. 2011년 NAS는 ‘미국의 기후 선택(America's Climate Choices)’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만들어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세울 것을 촉구했다. 한편 시세론은 여성과학자 육성에도 큰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2016.12.31
- 양자역학의 기괴한 면이다. 데보라 진은 교묘한 방법으로 페르미온인 칼륨40 원자의 에너지를 극도로 낮춰 극저온을 만든 뒤 원자들을 접근시켜 페르미온 분자(두 원자가 화학결합을 한 진짜 분자는 아니고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쌍이다)가 보손처럼 행동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즉 2003년 페르미온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2016.12.30
- 않았기 때문이다. 1985년에는 고에너지 우주선(cosmic ray) 관측으로 관심을 돌렸다. 고에너지 우주선의 실체를 밝히면 우주의 기원과 구조에 대한 미스터리가 풀릴지도 모른다. 그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과 연대해 곳곳에 검출기를 설치했는데, 특히 아르헨티나에 있는 피에르아우거관측소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가 해파리에서 발견한 GFP는 푸른빛이나 자외선을 흡수한 뒤 이보다 에너지가 낮은 녹색빛을 내는, 즉 형광을 내는 단백질이다. 따라서 특정 단백질의 발현 정보를 담은 염기서열(때로는 단백질 유전자도 포함)과 GFP의 유전자를 융합해 게놈에 집어넣는다면 특정 단백질이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의해 축 처질 것"이라며 "줄이 팽팽한 상태보다 에너지가 낮아 안정하기 때문인데, 그 에너지 차이를 계산하자 놀랍게도 쿨롱 법칙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전하가 무지하게 클 경우도 계산했는데, 전하의 곱에 제곱근(루트)이 들어가는 결과를 얻었다"며 "중력과 전자기힘이 야누스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2016.12.21
- 전기약력 이론을 만드는데 도움이 됐다고 한다. 1970년대 키블은 관심을 우주로 돌려 고에너지물리학과 응집물리학 이론을 적용해 초기우주에서 일어난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을 제안하기도 했다. 2013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 뒤 많은 사람들이 그가 포함되지 않은데 대해 아쉬워했지만 정작 키블은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2016.12.16
-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모형을 개발했다. 이에 따르면 작은 동물은 힘줄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방출해 점프를 하는 반면 사람과 큰 동물은 근육을 써서 뛰어오른다. 1976년에는 발자국 화석을 분석해 공룡의 이동속도를 추측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가 만든 수식에 따르면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2016.12.15
- 콘의 박사과정학생인 필립 통은 밀도함수이론을 써서 나트륨 격자 안에 있는 전자의 에너지를 계산하는데 성공했고 그 뒤 화학자들이 이론연구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컴퓨터의 성능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계산화학 분야가 꽃을 피웠다. 월터 콘은 이 업적으로 1998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