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합성할 수 있을 것 같은 현대에서도 천연물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까지 약 16만 종의 화합물이 자연에서 발견됐다. 자연에서 인간과 함께 진화한 천연 화합물은 합성 화합물에 비해 독성이 적다. 자연계 곳곳에 존재하다 보니 원재료를 얻기도 쉽다. 또한 일반적인 합성 과정으로는 상상할 수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정도로 튼튼하게 지어졌답니다.이밖에도 위치에너지를 이용해 돌아가는 ‘물레방아’나 종소리 연주를 하는 ‘음악의 거리’, 다람쥐처럼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히든 브릿지’ 등 잣나무 숲속 곳곳에 다양한 전시물들이 숨어 있어요. 이곳의 모든 전시물들은 어메이징파크를 기획한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스트’ 8월 7일자에 발표했다.뱅크스 교수팀은 동물 214종의 눈동자를 관찰했다. 그리고 생김새에 따라 세로로 길쭉한 ‘고양이 눈’, 사람 눈동자처럼 동그란 ‘둥근 눈동자’,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인 ‘네모 눈동자’로 분류했다. 연구팀은 각 눈동자와 닮은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흡습지와 번갈아 깔아 꾹 눌러 두면 식물이 곱게 말라요. 다 마른 식물을 단단한 종이에 잘 펴서 붙인 뒤, 학명과 채집자의 이름을 쓰면 표본 완성!대원들은 줄기에서 즙이 나오는 애기똥풀로 팀명을 쓰고, 애기똥풀과 서양민들레 씨앗을 확대경으로 관찰하는 미션도 수행했어요. 온몸에 가시가 있는 ...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모든 생명체의 진화계통을 정리한 표로, 지금까지 바이러스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종이 워낙 다양하고 유전자 변이가 잦아 염기서열을 토대로 계통발생분석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구스타보 교수팀은 쉽게 변하는 염기서열 대신, 잘 변하지 않는 단백질 접힘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북쪽의 15개 지역 중 5개 지역에서 등검은말벌이 발견됐다. 이들은 빠른 속도로 일본 토종벌(Apis cerana japonica )을 잡아먹고 있다’고 밝혔다.타카토시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일본 환경부는 현재 등검은말벌의 분포 지역, 밀도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고, 규슈대는 등검은말벌의 생태학적,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최연호 박사는 “2007년쯤부터 이런 문제점이 인식되고 근친교배를 줄이는 방향으로 육종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아직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몇 년 전 전국을 강타했던 구제역이 바로 질병저항성이 떨어진 동물들이 공장식 축산 환경을 만나면서 나타난 문제다. 그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숙주는 죽지않는 대신 건강 비용을 지불한다”며 “관용은 숙주와미생물 간의 일종의 협상”이라고 표현했다.관용은 미생물을 가만히 놔두기만 한다는 뜻이 아니다. 에리스와 슈나이더 교수는 2012년 ‘에뉴얼 리뷰 오브 이뮤놀로지’에 발표한 논문➌(goo.gl/7MrU5O)에서 관용을 네 가지로 구분했다.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주가 지나도 군집이 변하지 않을 정도로 일관성이 높다. 게다가 손에 사는 세균은 평균 150종이나 되는데 한 사람의 손에서 발견된 세균이 다른 사람의 손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13% 미만으로 매우 낮다. ‘미생물 수사’ 시대 다가올까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모았던 영국 드라마 ‘셜록’에서는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또 다른 휴식처인 배수로도 과거와 많이 변했어요. 전통적인 논둑 옆에는 종종 논에 물이 들어오거나 빠져나가는 길인 ‘배수로’가 있어요. 배수로는 흙으로 만들어져 수풀이 풍부하게 자라나 있었어요. 평소에는 수초들이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정화작용을 해요. 논밭에서 나온 농약으로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