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있어요. 약 20억 명 정도가 1900종의 곤충을 먹으며 살고 있죠. 그 중에서도 딱정벌레 종류가 전체 식용곤충의 31%를 차지해 가장 많이 먹는 곤충으로 꼽힌답니다. 1. 대상 :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인 곤충 식량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년부터 ‘최고의 미래식량’으로 지목돼 온 ‘스피루리나’죠.스피루리나는 남세균의 일종이에요. 남세균은 식물처럼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드는 세균이에요. 그 중 스피루리나는 나선 모양(Spiral)으로 생겼다고 해서 ‘스피루리나’라는 이름을 얻게 됐죠. 주로 아프리카, 동남아, 하와이 등 30~3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더 그 가치를 높이고 있는 똥. 화장실에서 무심히 흘려보낸 똥 한 덩어리가 모르는 사이 종이나 에너지, 물 등 다양한 형태로 다시 만들어지고 있어. 그러니 똥과 똥을 사랑하는 똥파리들을 너무 싫어하지 말아 줘. 킁킁! 어디서 맛있는 냄새가 나네? 그럼 난 다시 똥을 찾으러 가 볼게! 안녕~ ...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초음파 소나’라고 부르지요. 박쥐는 초음파로 물체를 구별하는 것은 물론, 나방의 종까지 구별해 먹을 수 있는 먹이와 그렇지 않은 먹이를 판단할 수 있어요.한편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나방은 고막으로 박쥐의 초음파 소나를 탐지해요. 밤나방은 배의 첫 번째 마디에 고막이 있어요. 이 고막에는 ... ...
- 아침부터 밤까지 하루 종일 즐거운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아시아에서 가장 큰 항공우주박물관이 우리나라에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바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이에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 있는 다양한 체험과 볼거리를 오직 여름방학에만 더 긴 시간 동안 즐길 수 있다고 해요. 시원한 바람을 타고 제주에서 날아온 소식을 함께 만나 볼까요?밤까지 더 ...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있었던 거예요.하지만 모든 거미가 풀거미들처럼 아사회성을 갖고 있진 않아요. 4만 5000종의 거미 중에서 20종 정도만 아사회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답니다.사람들을 놀라게 했던 거미 비. 알고 보니 똑똑한 거미의 생존 전략이었네요.거미가 알려 주는 비행방법➊ 엉덩이를 하늘을 향해 들고 바람이 ...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도시의 높은 온도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고, 매미의 종에 따른 서식지역에 대한 다른 가설도 검증해야 해요. 하지만 요즘 매미가 도시에서 요란한 게 우리 인간들의 활동 때문인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랍니다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이 양은 지금까지 알려진 식물 플랑크톤 종으로만 계산한 수치예요. 아직 밝혀지지 않는 종을 포함한다면 70%가 넘을 수도 있답니다.그러나 안타깝게도 식물 플랑크톤 수는 점점 줄고 있어요. 2010년 캐나다 댈하우지대 연구팀은 식물 플랑크톤이 1950년부터 매년 1%씩 줄어, 1950년과 비교했을 때 무려 40 ... ...
- 고릴라 VS 오랑우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제 가방에는 고릴라 인형이 달려 있어요. 그 인형을 보다가 오랑우탄이 생각나더라고요. 고릴라와 오랑우탄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고유빈 (부산 해원초 6)고릴 ... 사는 오랑우탄은 사람들이 함부로 잡아들이고 서식지를 파괴하는 바람에 수가 줄어들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답니다 ... ...
- 참매미의 새벽 대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좋을까요? 노래곤충은 노래 할 때 선호하는 온도 범위가 있어요. 같은 매미라 하더라도 종에 따라 노래하기 좋은 온도 범위에 차이가 나는데, 가장 대조적인 예가 말매미와 참매미예요. 참매미는 약 27°C 이하에서 합창을 할 확률이 가장 높고, 반대로 말매미는 주변 온도가 27°C 이상 올라가면 합창을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