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부착만 하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이 업데이트됩니다. 빅데이터를 이용해 개개인의 전력 사용 패턴과 규칙성도 찾아 분석합니다. 사용량과 생활패턴을 연결해 합리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절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팔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재고 관리는 아주 중요하다. 정육각은 계절·날씨·요일 같은 데이터를 분석해 화요일과 수요일은 주문이 적고, 기온이 올라가면 더 많이 구입하고, 비가 내리면 정육점까지 가기 귀찮아한다는 등 주문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냈다. 이를 토대로 주문량을 예측하는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DOI:10.1098/rspa.2016.0404). 기원전 700년부터 2015년까지의 일식과 월식의 기록, 달 가림 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구의 자전 속도 변화를 모델링한 결과다.이 외에도 지구의 자전 속도를 불규칙하게 만드는 원인은 다양하다. 스티븐슨 교수팀은 논문에서 지구의 자전 속도에 조석력뿐만 아니라 다른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보인다. 2진법에 비해 3진법은 n비트를 기준으로 데이터 처리 능력이 (1.5)n배 커지고,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자나 회로 연결은 63.1%로 줄일 수 있다(더 읽을 거리 참조).3진법 소자를 지지해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국내에서도 3진법에 맞는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 연구자가 있다.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흐름이 두피로 전달되는 뇌전도(EEG)를 감지하는 장치다. 수집한 EEG 데이터를 작가가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3차원 형태로 변환한 뒤,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최두은 아트센터 나비 겸임 큐레이터는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 감정의 본질과 그 역할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싶었던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기술은 속도나 집적도, 소비전력 등에 한계가 있다. 메모리 속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려면 원자의 배열과 방향을 바꿔야 하는데, 전류를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경우 크기가 작아질수록 저항이 커지고 발생하는 열도 많아진다.이 교수팀은 기존의 전기나 자기장 대신 ...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떤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진단하려면 지금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그런데 국내 과학자들이 감염병 진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 ... 수 있다.구 교수는 “앞으로 조류인플루엔자와 돼지콜레라 등 동식물 바이러스에 맞는 프라이머 데이터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런 궁금증이 생겼다.때마침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 성씨 분포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됐다. 통계청은 5년에 한 번씩 우리나라의 인구주택총조사를 시행하는데, 15년 주기로 본관까지 묻는 상세한 성씨 조사를 한다. 1985년, 2000년, 그리고 최근 2015년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김리더는 “NMT는 사용 단어가 10만 개 이상이 되면 품질이 급격히 떨어진다”며 “학습 데이터의 단어 벡터가 10만 개 이상이 되면 그 중 사용 빈도수가 낮은 단어들은 따로 분류해 모두 동일한 벡터 값을 가지게 한다”고 말했다. 평소에 쓰지 않는 학술용어가 소리 나는 대로 번역되거나, 번역되지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패트릭 민니스 박사는 1971년부터 1995년까지 25년 동안 인공위성으로 찍은 데이터를 토대로 권운이 얼마나 많아졌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이 기간 동안 비행기 운항 수는 약 5배 정도 증가했는데, 세계적으로 권운도 증가했음을 알아냈다. 민니스 박사는 “특히 북아메리카와 서유럽, 일본, 호주 북부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