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차이"(으)로 총 1,6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2016.07.19
- 개인들에 비해 불행하지만 일단 소득이 어느 정도 이상 되는 개인들 사이에서는 행복도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난다. 심리학자 Kahneman과 동료들이 2010년 미국에서 4만 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조사결과 연 소득 4-5만 불 선을 기점으로 돈이 ‘행복감(기쁨, 즐거움, 신남 등의 정서)’에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토편] 주말도 마다않는 열혈 멘토, 이준석 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6.07.15
- 아이디어를 사업화가 되도록 하는 멘토링 활동은 때론 멘티와의 생각이나 이해 등의 차이로 인해 힘들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는 타운을 통한 멘티의 칭찬이나 혹은 답글 등을 통한 고맙다는 말 한마디에 큰 보람을 느낍니다. 특히 제가 멘토링을 했던 아이디어가 좋은 성과를 이루었다는 ... ...
- 자외선, 머리부터 발끝까지 차단이 필요해 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붙이게 되어 있다. 하지만 SPF30인 제품만으로도 자외선이 97% 차단되고, 50도 이와 1% 차이인 98%를 차단하는 등 상승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굳이 50 이상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자외선 차단 성분인 티타늄다이옥사이드나 징크옥사이드 등이 피부에 자극을 줘 피부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발병했다는 주장과 다를 바 없다. 일반적인 수준의 양육을 제공했다면, 양육방법의 차이가 정신장애의 원인이 되기는 어렵다. 지금도 수많은 의사와 과학자들이 엄청난 시간과 비용을 들여 연구하고 있지만, 정신장애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연하다는 듯이 ... ...
- 여성의 입장으로 과학을 전달하겠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함께 해야 함을 강조했다. 어차피 세상은 어느 성 하나만 살아갈 수 없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단점이 아닌 장점으로 인정하고 함께 노력한다면 과학으로 만들어진 이상세계가 생각보다 일찍 찾아올지도 모를 일이다.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똑같은 콜레라균에 감염되고 누구는 멀쩡하고 누구는 죽는 건 장내미생물의 조성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 생각하면 놀라운 선견지명이다. 이런 와중에 스위스의 연구진이 불가리아의 장수촌에서 많이 먹는 요거트라며 견본을 보내왔다. 이에 흥미를 느낀 메치니코프는 ... ...
- 소득 높을수록 퇴직소득세 증가한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6.08
- 0~35%만큼 차등해 소득공제하는 '환산급여공제'를 새로 만들었다. 둘째, 연분연승법에 차이가 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고소득자에게 높은 세율을 적용하기 위해 세율을 곱하기 전에 5배수를 적용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5배수를 적용하던 것을 12배수로 높였다. 그 결과 고소득 근로자나 ...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2016.06.07
- 상대적으로 이점을 갖는다고 한다. 이런 심적 위기감 및 여유의 차이가 ‘포커스’의 차이를 가져오고 그것이 또 빈익빈부익부를 만드는 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겠냐는 시사점을 주기도 했다. 우리 인간의 행동은 ‘맥락’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점을 기억하고 다양한 맥락에서 생존을 위해 어떤 ...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2016.05.30
- 시각 신호에 기여를 할 것이다. 즉 색소가 두 층에만 있든(필자의 추측) 세 층에 다 있든 차이는 미미할 것이다(다른 꽃들은 그렇지 않다). 이 꽃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특별할 뿐 아니라 해부학적으로도 예외적인 존재다!(This flower is not only special because it’s beautiful, also it’s anatomy is exceptional!)” ... ...
- ‘나는 페미니스트다’ 선언이 성차별 대응에 도움된다2016.05.24
- 하지만 여전히 노예를 통제하려 하는 주인으로서의 태도는 고스란히 갖고 있다. 차이는 차별의 형태 또는 방식이다. 흔히 전자를 적대적 형태의 차별이라하고 후자를 온건/우호적 형태의 차별이라 한다. 형태는 다르지만 결국 둘 다 차별이다. 이 두 종류의 차별은 차별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항상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