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런 작용은 태어날 때부터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자라면서 경험을 통해 특정 물체 및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 ‘공포 조건화’라 한다. 공포 조건화는 오래 전부터 연구돼 왔다. 1920년 미국의 심리학자 존 왓슨은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실험을 진행했다. 1 ...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사람 중에는 ‘무의식적인 분노’를 지닌 경우도 있다. 겉으로 드러낼 수는 없지만 특정 대상(부모, 선생, 친구 등)에게 무의식적인 분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공포영화 속 가해자에 공감한다. 미워하는 대상을 없애거나 해하지 못하는 대신 영화 속에서 가해자가 방해물을 가차없이 제거하는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대기 중 물질농도를 측정한다. 기체는 각각의 성분별로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어 특정 파장의 빛만 흡수하는데, 판도라는 어떤 파장의 빛이 사라지는지 살펴 대기 중 기체성분별 농도를 파악한다.각도를 바꿔가며 높이별로도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는 “판도라는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수 있다. 연구를 할 때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협력해야 한다. 전염병이 퍼지는 현상은 특정 공식으로 설명할 수 없고, 감염자 수와 같은 실제 데이터를 토대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이번 메르스 확산도 마찬가지다.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는 수학동아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야생동물과 접촉하는데, 그 과정에서 인류가 잘 접하지 못했던 바이러스를 전달받는다. 특정 동물과 바이러스가 서로에게 해를 주지 않는 상태로 공진화한 경우, 이 야생동물을 해당 바이러스의 자연숙주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바이러스 중 일부는 가축에게 큰 해를 주지 않기 때문에 가축에도 ...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포기하지 않는 이유먼저 하나 짚고 가자. 매운맛은 맛이 아니다. 맛은 기본적으로 혀에 특정한 맛수용체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등 5가지 기본 맛이다(감칠맛 대신 매운맛을 기본 맛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감칠맛이 5가지 기본 맛이다). 이외에 다른 맛은 기본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특히 ‘전문가 시스템’이 급부상하면서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전문가 시스템은 인간이 특정분야에 대해 가진 전문적인 지식을 컴퓨터에 이식해, 일반인도 이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이다. 1960년대 화합물의 구조를 추정하는 ‘덴드럴’ 시스템이 시초다. 잘 알려진 전문가 ... ...
- “반복되는 표절, 막을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최초의 표절 검사 프로그램인가A 이전에도 표절 검사 프로그램이 있긴 했다. 문서에 특정 단어가 나타나는 빈도수를 세서 표절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쉽고 간편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학전공과목 레포트를 이런 기준으로 검사한다고 생각해보라. 모두 비슷한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통해 들어오면 노드(세포체)로 할당돼 분석된 뒤, 계산된 값이 출력단(축삭)에 나타난다. 특정 뉴런이 활성화되는 정도는 인공신경망에서 ‘가중치’라는 개념으로 모델링했다.자, 이제 본격적으로 학습을 시작해 보자. 가령, 흰 종이에 검정색으로 숫자 5가 쓰인 그림을 인공지능에게 줬다. 이 ...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증상을 더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졌어요. 첸 조우펭 교수팀은 쥐의 특정 유전자를 조작해 세로토닌이 분비되지 않도록 한 뒤, 가려움을 느끼도록 자극했어요. 그러자 이 쥐들은 정상 쥐보다 덜 긁었지요. 이후 다시 세로토닌을 주입하자, 정상 쥐만큼 긁는 행동이 두드러지게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