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으로 푼 몸속 시계의 원리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생체리듬이 유지되는 원리를 밝혀냈습니다. 김 교수는 “이 해를 생체 회로에 대입하면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생체 회로는 주로 호르몬과 신경으로 이뤄지는데, 이를 조절하는 게 ‘음성피드백’입니다. 어떤 물질이 필요 이상으로 나오면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 효소에는 목표로 하는 유전자에만 달라붙는 특정 물질이 붙어 있어요. 이 물질이 특정 유전자를 찾아내면 효소가 유전자를 잘라내지요.이 기술은 유전자의 아주 작은 부분만 정교하게 없애기 때문에 야생에서 생기는 돌연변이만큼이나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어요. 튼튼이 유전자를 집어넣는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을 기록한 책은 꽤 있다. 특히 곤충을 분류해 특징별로 설명한 도감과 특정 곤충분류군의 생태를 소개한 책이 많다. 허나 우리 땅에 사는 곤충전체를 이야기하는 책은 아직까지 없었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곤충 전반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정 박사의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생명현상은 물론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과 기체나 액체 속에 섞여 있는 특정 분자 등 다양한 대상을 연구하고 있다.폭넓은 분야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비결은 화학과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세포가 물질을 적재적소로 운반하는 원리를 밝힌 것도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뇌공학과 교수는 이런 현상을 ‘대립과정이론(opponent-process theory)’으로 설명했다. 특정한 정서가 강하게 형성돼 심리적 평형이 깨지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반대의 정서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언프리티랩스타에 적용시켜 보면 래퍼들이 TV 속에서 마음껏 욕을 하는 것을 보면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SNP)을 읽어냈다. 사람과 사람은 유전자의 99.9%가 동일하고 0.1%만 다르다. 차이는 염기서열 특정 위치에서 나타하나의 형질은 인접한 여러 개의 SNP가 함께 결정한다. 마치 물감이 섞여서 색을 내는 것과 유사하다. 기자의 비만위험도를 예로 들면 18번 염색체의 MC4R, 16번 염색체의 FTO, 4번 염색체의 GNPDA2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가리지 않고 연구를 했어. 근데 파브르가 죽고 시간이 지날수록 분야가 세분화됐지. 요샌 특정 분류군만 집중적으로 연구한다고. 난 딱정벌레 중에서도 잎벌레 전문가예요. 내가 나비 연구하면 학계에서 웃어. 근데 파브르는 어떤 줄 알아? 분류군이 곤충 전체예요.”B가 말을 얹었다. “요새 누가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비트 힐베르트가 1912년 정의한 ‘힐베르트 공간’이 있다. 특정 수열의 극한이 존재하는 추상적인 함수 집합으로, 양자역학이나 신호처리 문제 등을 푸는 데 응용된다.우리는 편미분방정식 형성 역사의 산 증인아직 수많은 편미분방정식에서 정칙성 문제조차 해결되지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연구원이 제안했다. 암호 알고리듬은 기본적으로 암호화와 복호화의 과정을 거친다. 특정 메시지를 수식을 통해 변환하는 것이 암호화, 역으로 암호를 푸는 과정을 복호화라고 한다. 프린스는 복호화 과정이 매우 간단해, 하드웨어가 크게 필요하지 않다. 때문에 프린스를 이용하면 다른 암호에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뒤로 다른 사람들이 차례차례 줄을 선다. 마찬가지로 온도를 재려면 기준이 있어야 했다. 특정 온도 몇 개로 기준을 정한 뒤 그 사이를 잘게 쪼개 눈금을 만들면 훌륭한 온도계가 된다. 온도 측정의 역사는 더 정확하고 편리한 기준을 만드느냐의 역사였다.서양에서 가장 먼저 나온 정밀한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