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우리는 매우 적은 노력으로 그와같은 천연자원을 발굴하여 지구 근처로 가져와 일부
천문학
자들과 다른 과학자들이 꿈꾸고 있는 우주 도시들을 건설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latest figure I can find tells us there are about 4,800 known asteroids(little bodies that orb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아니며 단지 이해부족에서 생긴 오류라는 사실을 확인했다.해링튼은 런던에서 열린 왕립
천문학
회 모임에서 자신의 계산방식을 바꾸어 이 변화된 사실에 맞추려고 했다. 그는 행성X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이며 주기는 1천년, 3백년전에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다고 주장했다. 또 이 행성은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게재할 예정이다. 칠성석의 지질학적 고찰이 병행돼 확실한 연대가 밝혀진다면 우리나라
천문학
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기게 될 것이다.남도천문연구회의 앞으로 목표는 지역간 교류. 특히 서울의 앞선 아마추어천문인들과 여러가지 각도에서 도움을 주고받을 예정이다. 아직까지 이 모임에는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사고의 전환을 강요하는 도전이었다. 코페르니쿠스의 학설이 물리학과
천문학
, 이후 우리 사고에 미친 영향을 감안한다면 신경망컴퓨터를 여기에 비유한다는 것은 어쩌면 불경스런 발상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불경스런 과장을 고집하고 싶은 것은 지금까지 컴퓨터 연구에서 철저하게 무시되고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만하다. 그러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별로 없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이 우주수프에 관해
천문학
자들이 보다 잘 알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한가지 방법은 현재의 우주로부터(현재의 우주에 관해서라면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으니까) 출발하여 거꾸로 되돌아가 온도가 올라갈때마다 무슨 일이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거친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해도 제10행성의 존재를 완전히 부인하지는 못한다. 대부분의
천문학
자들은 명왕성 바깥을 돌고 있는 새로운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말한다. 다만 존재한다고해도 대단히 작고 어두울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태양계내에 지름 1백km 정도의 천체는 1천개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천문학
자 로드로제(Lord Rosse)가 그 모습이 게의 집게발을 닮았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천문학
자들은 이 천체를 M1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은 프랑스의 샤를 메시에(Charle Messier)가 정리한 성운성단 목록의 첫번째 대상이기 때문이다.게성운은 황소의 뿔 사이에 있는데 제타별에서 약1도 정도 떨어져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어떠했는가 하는 등이다. 이 새로운 우주론은 일반상대론자, 입자물리학자 그리고
천문학
자 모두에게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다.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일어났던 일반상대성 중흥기의 부산물 중의 하나는 이론의 중요성과 그 이론의 사용에 대한 태도의 변화다. 시공과 중력 성질의 기본적 ... ...
대규모 탐색 작업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월 초순경에 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시에서 예비 모임이 있을 예정이다.이 탐색엔 소련
천문학
자들도 참여하도록 되어있고 소련이 가지고 있는 대형 전파망원경 중 셋을 미국측에 협조 목적으로 제공하겠다고 알려왔다.이것이 현실화 된다면 매우 유용하겠지만 소련과 미국사이의 다른 모든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아니지만 그만큼 지구는 소행성과의 충돌 위험을 안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세계의
천문학
자들은 네트워크를 구성해 CCD촬영으로 지구에 가까이 다가오는 소행성에 공동으로 대처하고 있다. 1991BA도 이 네트워크에 걸려 '요주의 대상'이 된 것이다.지름이 1m 이하인 암석이 지구대기에 돌입하면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