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상으로 천체의 운동과 중력에 관한 기술을 마치고 다음 호부터는 별의 진화같은 현대
천문학
과정에 관하여 공부해 보기로 한다. 익힘문제 해답(1)식 (14)에서 만일 우리가 ${M}_{1}$=16, ${M}_{2}$=0으로 놓고 P의 단위로 년, a의 단위로 AU를 사용하면 16${P}^{2}$=${a}^{3}$이 된다. a=1이므로 P=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제조에 성공한 과학자들은 엉뚱하게도
천문학
자들이었다. 이들은 1970년도 중반에 전파
천문학
적 관찰결과로부터 은하계에 탄소로 이뤄진 화합물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 화합물의 구조를 알아내기 위한 실험들을 해왔다.1984년 미국 뉴저지의 엑슨(Exxon)석유회사의 연구소에서 흑연을 레이저광으로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1924년에는 어느 누구도 외부은하의 존재를 부인할 수 없게 됐다.고대희랍에서 시작된
천문학
의 긴역사에 비하면 외부은하 연구는 아주 짧다고 할 수 있지만, 대형망원경의 계속적인 건설과 관측기기의 정밀성 및 우주공간 망원경(허블망원경)의 발사 등으로 외부은하에 관한 문제점들은 조금씩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간략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1950년대 이후의 전파 적외선 자외선 X선 및 감마선을 이용한
천문학
은 우리은하에 관한 많은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 하지만 그러한 새로운 사실들에 못지않게 또한 많은 새로운 문제들도 던져주었다. 즉 "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우리은하에 뜨거운 가스의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정체와 초기 우주에서 생성된 물질의 불균일성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천문학
자들은 관측을 통해 또 이론을 통해 은하의 형성 시기와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이러한 문제들이 풀려져 나갈 때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해답이 주어지고, 인간의 우주에 대한 과학적 철학적 인식이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4만5천W의 전력을 내게 되므로 그 주변이 엄청나게 뜨거워지는 탓이다.1974년 미국의
천문학
자 칼 세이건은 ET에게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이 거대한 '확성기'를 사용한 바 있다. 이제 겨우 18년이 흘렀다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된다.중력은 중력 가속도에 의해서 기술된다. 이제 완전히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천문학
으로 돌아와 중력가속도에 관해 학습해 보자. 이 분야는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물리학과 완전히 일치한다. 속도와 가속도먼저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가장 기본적인 용어의 하나인 속도부터 살펴보기로 ... ...
우주 암물질의 비밀규명 박차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소행성 또 작은 블랙홀이라면 추정이 아닌 설명이 가능해야한다. 바야흐로 미국의
천문학
자들이 이 암물질 규명에 도전하고 있다.연구자들이 붙잡고 있는 단서는 하나. 이 암물질들이 탐사위성이 추적하고 있는 우주공간의 감마선을 굴절시킨다는 것이다. 작년에 NASA(미항공우주국)의 컴프텀 감마선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것을 차단한다.정자는 하루에 2억개가 만들어진다. 일생을 통해 남자는 8조개에 달하는
천문학
적인 수의 정자를 생산한다. 수정에는 단지 한마리의 정자만 필요한데 왜 수많은 정자들이 만들어지고 사정될까. 대답은 자명하다. 수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생명이 이어져야 한다는 자연의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천문학
과)가 우리말로 옮겼는데, 옮긴이 자신도 수식을 쓰지 않고 이렇게 쉽고 재미있게
천문학
이론을 설명한 것에 놀랐으며, 아시모프에게 많은 것을 배웠다고 후기에 토로한 바 있다. 뒤늦게나마 아시모프의 저작들이 활발하게 우리나라에 소개되고 있는 중에 갑작스런 그의 서거 소식은 큰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