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3D 프린터로 팔을 만든다? 전자의수지난 2015년, 영화 ‘아이언맨’의 주인공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팔이 없는 소년에게 로봇팔을 선물하는 영상이 공개돼 큰 감동을 줬어요. 그런데 사실 이 로봇팔을 만든 주인공은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대학교 공과대 학생들이에요.이들은 선천적이거나 사고로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예상 1. 콘크리트는 의외로 약하다?인류는 콘크리트가 개발되기 전까지 수천 년 동안 돌을 쌓아 건물을 지었다. 그 중에서도 건축에 많이 사용하는 화강암은 풍화작용을 겪고도 끄떡없을 만큼 내구성이 강하고, 마그마가 냉각되면서 형성돼 구조가 균일하다. 화강암보다 물러 원하는 모양으로 자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화려한 기교로 감성을 울려 청중들의 정신을 빼놓았던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 니콜로 파가니니. 여성 팬들을 몰고 다닐 정도로 인기 있었던 덕분에, 그가 항상 지녔던 스트라디바리우스도 함께 유명세를 탔다. 그는 또 다른 명품 바이올린인 과르네리도 갖고 있었는데, 날마다 기분에 따라 악 ... ...
- [과학뉴스] 치매 유전자 돼지로 신약 개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최근 제주대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복제돼지 ‘제누피그’를 탄생시키고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6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이 돼지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키는 유전자인 APP와 Tau, PSI를 갖고 있다.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뇌에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쌓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인류가 최초로 로켓을 우주로 날려 보낸 것은 1957년이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현재까지, 우주로켓과 인공위성, 우주탐사선의 추진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기모터와 배터리, 3D프린터, 플라스마, 전자기파 등 우주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기술까지 도입되고 있다.◀ 발사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세기 초만 해도 50세에 불과했던 인류의 수명이 최근 80세 안팎까지 높아진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 항생제 개발, 정수 기술 발전과 더불어 백신의 사용이 꼽힌다. 감염병에 의한 영·유아 사망률 감소와 인구의 증가에 백신이 절대적으로 이바지해왔음을 수많은 과학적 근거들이 보여주고 있다.백신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산업수학은 언제 본격적으로 시작됐나요?1960년대 영국 왕립학회는 응용수학이 역학은 물론 물리와 생물을 포함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어요. 그 내용을 읽다가 문득 제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수학자가 떠올랐어요. 당시 군대는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수학자를 고용했고, 전쟁에서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14년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둔 어느 날, 노르웨이 남동부, 특히 오슬로 주변의 광활한 하늘에 ‘진주구름’이라고 부르는 기상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당시 필자는 집에 있다가 창문을 통해 갑작스럽게 이 구름을 보게 됐죠. 일몰이 시작되고 약 30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바로 카메라를 집어 들고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금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무엇이 우리의 미래를 변화시킬까.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에서 남녀노소 모두가 던질 수밖에 없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강연이 열리고 있다. 네이버와 네이버문화재단, 카오스재단이 후원하는 인문과학 강연 프로젝트 ‘열린연단 : 문화의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6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한 ‘알쓸신잡’이 인기입니다. 각 분야의 전문가 5인이 수다를 떠는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인데요. 방송에서 제 귀를 사로잡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방송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아이의 성은 아빠가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