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 만"(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궁리했다. 결국 소수 계단을 아주 큰 수까지 만들면, 계단의 높이가 특정 식에서 유도되는 곡선( N/lnN )의 높이와 같다는 걸 발견했다. 작은 수에서는 실제의 계단의 높이와 곡선의 높이가 달랐지만, 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계단의 높이와 곡선의 높이가 같아졌다. 이 이론을 정리한것이 바로 ‘소수 ... ...
- 비트 vs 바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다르다고? 비트(bit)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가 정보를 처리하는 가장 작은 단위가 ‘비트’예요. CPU는 켜짐과 꺼짐, 참과 거짓만을 구분하는 ‘기계어’를 이해하기 때문에 비트는 0이나 1값만 가진답니다. 1비트는 0과 1 두 가지, 2비트는 00, 01, 10, 11 네 가지 값을 가질 수 있어요. 1비트 늘어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구조로 구를 포장해야 가장 부피가 작은지 밝혀지지 않았다.차원에 따른 ... 포장하면 넓이를 최소한으로 만들 수 있다. 각 원의 반지름을 ... 타카기에 의해 발견된, 연속이지만 미분불가능한 세 번째 함수다.블라망주 함수는 n값이 커질수록 무한히 많은 작은 뾰족한 점들이 더해진다. 그리고 각각의 ...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했다고!”“하지만 우리 힘만으로는 이곳에서 테스티를 찾을 ... 수밖에.”폴의 말에 폴리스가 작은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저들이 ... 하루가 물었다.“잠깐, 그 개미 공작은 만났어?”“아니, 한 바퀴 다 돌았는데 전혀 안 보여.”“그 녀석이 어디론가 사라졌다면, 분명 우리도 빠져나갈 방법이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일부 책임이 있다. 인류 역사상 단 한 번도 만나본 적이 없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침입하자 ... 강한 젊은 층일수록 더 세게 일어난다.만약 집에 좀도둑이 들었다면 작은 손해를 각오하고 인기척을 내 도둑 스스로 도망가게 하는 것이 상책이다. 그런데 만약 몽둥이를 들고 도둑과 싸우려든다면 도둑은 ... ...
- 내 LTE만 느린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3G 대신 2세대 통신(2G)을 쓰던 불과 7~8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 그런데 ‘마의 영역’ 같던 지하 ...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설명했다. 펨토셀이란 작은 냉장고 크기의 기지국에서 꼭 필요한 부분만 빼 와이파이 공유기 크기로 만든 초소형 기지국이다. 국내에서는 2012년 6월부터 LTE 펨토셀망을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누웠다. 무기를 던지는 자는 없었지만, 그것만으로 원주민의 성향을 짐작하기는 어려웠다. ... 이명의 옆에 있는 산봉우리와 비슷했다. 하지만 그 원주민들이 가시광선에 의존하는지 알 도리가 없었기 때문에 내가 어떻게 비쳤는지는 모르겠다.나는 작은 기계팔 여덟 개를 뻗어서 이명과 물리적으로 ... ...
- 코끼리로봇 코 구부리며 하는 말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만났을 때 방향을 바꾸고 코를 재빨리 접게 만들 수도 있다.EV3에 새로 추가된 ‘자이로센서’는 ... 잡는다.다양한 센서를 잘 활용하면 그 자체로 작은 과학 실험실이 된다. 녹는점을 알기 위해 ... 로봇을 디자인하고 실험한 내용을 포트폴리오로 만들어 공유할 수도 있다. 교사는 수업 내용을 직접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양을 측정하는 능력에 가까울 수 있다. 하지만 개미 한 마리가 아니라 개미 집단이 되면 그 ... 막대기에 옮겨야 한다. 이때 원판은 한 번에 하나만 옮길 수 있고, 크기가 작은 원판 위에 큰 원판을 쌓을 수 없다.연구팀은 원판 3개로 이뤄진 하노이의 탑을 평면 위의 미로에서 최단 거리를 찾는 문제로 ...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자연숲’을현재 도시숲은 외래종이 많지만 숲을 오래 관리하려면 우리나라에 맞는 자생종을 ... 또 한 그루의 나무는 열매를먹는 새나 곤충뿐만 아니라 토양 속 미생물, 나무에 붙어 자라는 지의류처럼 다종다양한 생물이 모인 작은 생태계다. 자생종이 버틸 수 있는 기름진 토양과 넓은 공간을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