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 만"(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김장, 글로벌하게 절이고 과학으로 버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가져온 물건을 끊임없이 내려놓았다. 배추, 무, 파 같은 갖은 채소가 작은 언덕마냥 쌓였다. 사실 그 어떤 것보다도 겨울을 알리는 첫 번째 소리는 엄마가 이틀을 꼬박 공을 들이는 ‘김장’일게다. 과연 이틀 만일까. 그제는 윗집 김장, 어제는 할머니 댁 김장, 내일은 우리 김장…. 다람쥐가 겨우내 ... ...
- 필리핀 슈퍼태풍, 한반도에도 온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약 4000억 원에 이르는 재산피해를 낳았다. 만일 23호 태풍 피토가 북태평양 고기압에 밀려 ... 이상인 열대해양(인도양, 태평양, 북대서양)에서만 발생한다. 태풍의 반지름은 가장 작은 경우도 300km나 된다. 이 지역에서 혼합층(해양에서 상, 하층이 잘 혼합되는 층) 깊이를 100m로 가정한 경우,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특성도 절대적으로 유리하거나 우월하지 않지만,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위해 그 특성을 활용할 수 ...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극히 미미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경험이 있습니다. 미지의 대륙을 ... 다채로운 그 한 사람 한 사람이 보여 줄 작은 행동들은 결코 미미하지 않을 것입니다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은하단 같은 국지적인 규모에서 중력이 이겼지만, 이 경우에는 어림도 없다. 암흑에너지는 우주를 ... 앞으로 약 200억 년 뒤면 우주는 아주 작은 단위로 찢어져 종말을 맞이한다. 종말 10억 년 ... 밀코메다 은하가 탄생하지 못한다. 이어서 6000만년 전에는 우리은하가, 3개월 전에는 태양계가, 30분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우리나라의 천문대 대부분은 시나 지자체에서 만든 공공천문대지요. 보통 그런 곳은 컨텐츠보다는 ... 외적인 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천문대는 망원경을 전시하는 곳이 아닙니다. 작은 망원경으로도 얼마나 감동적으로 별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하다.그렇다면 내부에 있는 작은 정사각형의 넓이는 얼마일까 ... 피타고라스의 정리인 3²+4²=5²를 만족한다. 직관을 중요하게 여긴 이름 ... 작품이다. 페리갈은 두 개의 작은 정사각형을 이루는 퍼즐 조각 5개로 큰 정사각형을 만들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정사각형의 넓이로 생각해 도형 퍼즐과 ... ...
- [W5 코드 브레이커] 수학과 함께 달려온 암호의 역사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특히 컴퓨터는 모든 입력 내용을 0과 1만으로 표현하는 이진법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 ‘생체 인식 암호’가 탄생했다. 또한 아주 작은 입자들의 세계를 설명하는 양자역학의 발전에 힘입어 조만간 절대로 엿볼 수 없는 ‘양자 암호’까지도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거리 사이의 관계를 정리해 ‘허블의 법칙’을 만든다. 허블의 법칙은 우주가 엄청나게 높은 에너지를 갖는 아주 작은 점에서 맹렬한 대폭발로부터 만들어졌고, 그 이후 계속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이론의 초석이 된다.우주의 팽창에 대해 설명하는 또다른 이론은 1915년 아인슈타인이 완성한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키우기’, ‘수학 기호로만 적는 피아노 악보 만들기’ 등 주로 창의적인 실험까지 겸한 연구들이 상을 수상한다.‘만물은 수이다’라는 동아리 이름에 걸맞게, ... 빠짐없이 섭렵하는 아인스! 이들의 크고 작은 활동을 통해 꿈과 실력이 자연스럽게 성장하리라 믿는다.지도교사의 한 마디추억과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같은 동물도 마찬가지다.턱과 함께 생긴 이빨은 작은 동물도 큰 동물을 사냥할 수 있게 해줬다. 입으로 빨아들여야만 했던 시절에 작은 물고기는 큰 물고기의 밥이었다. 하지만 이빨이 생기면서 작은 물고기도 큰 물고기를 공격해 뜯어먹을 수송곳 같은 이빨은 무서운 무기다. 어떤 뱀은 이빨로 독을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