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밀어낸다”며 “만황이의 경우는 2018년에 미송이를 둥지탑 근처에 풀어주자마자
바로
짝을 이뤘다”고 말했다. 짝과 함께 둥지 위에서 시간을 보내던 만황이가 ‘따따따따따’하고 부리를 부딪히며 울었다. 황새를 돕는 사람들과 사람을 돕는 황새의 동행황새생태연구원에서 60마리의 황새를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얻는가 하면, 우리우리스 게임의 원칙을 지키고 그 원칙 아래 유지되는 종족의 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고양이를 은하계 최고의 생물로 떠받드는 것이 맞다는 의견도 한 편에서 인기를 얻었다. 결국 우리우리스 종족은 견디다 못해 문제의 고양이를 그냥 원래 지구의 있던 곳으로 돌려 주고 ... ...
[특집] 수학으로 살아남아라! 무인도의 법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외쳐! 무인도에서 살아남기도 역시 ‘매스 파서블!’ +놀이북 책 4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
가기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특집] 수학으로 살아남아라! 무인도의 법칙Intro. 숫자로 보는 무인도Part1. 미션 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 Part2. 미션 2. 나뭇가지로 집을 지어라!Part3. 미션 3. 빛으로 구조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평범함은 거부한다! 10면 주사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공정한 주사위가 될 수 있어요. 그런데 아주 신기하게 생긴 공정한 주사위도 있어요.
바로
면이 10개로 이뤄진 ‘오각 엇쌍각뿔’입니다. 이름이 조금 어렵죠? 엇쌍각뿔은 각뿔 두 개를 어긋나게 붙여놓은 모양이에요. 오각 엇쌍각뿔 모양의 주사위는 ‘던전 앤 드래곤’이라는 보드게임에도 쓰이고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체험실] 오각 엇쌍각뿔 주사위 전개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본책 82 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
가기 전개도를 활용해 오각 엇쌍각뿔 주사위를 만들어봐요. 전개도를 가위로 오린 뒤 짝수는 짝수끼리, 홀수는 홀수끼리 붙이면 주사위 완성! ...
[디지털리터러시] 스마트폰의 조상님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사용할 수 있을 뿐이었어요. 지금처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언제부터 사용된 걸까요?
바로
‘아이폰’부터입니다. ‘아이폰’은 미국 기업인 애플이 2007년 출시한 스마트폰이에요. 여러 언론에서 아이폰을 21세기의 가장 혁신적인 제품으로 손꼽았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를 통해 쉽고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달려온 원주율 이야기도 어느새 막바지에 이르렀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원주율은
바로
컴퓨터 알고리듬으로 구한 결과입니다. 원주율을 구하는 알고리듬을 이용하면 뛰어난 성능을 지니지 않은 가정용 컴퓨터로 계산해도 윌리엄 샹스크의 기록을 깨는 데 불과 10분 안팎이 소요될 뿐입니다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닮은 부분 구조가 반복되는 형태를 ‘프랙털’이라고 하죠.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바로
대표적인 프랙털 도형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1915년 폴란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가 고안한 도형입니다. 2020년 12월호 ‘퓨처TV 매스크래프트’에서 자세히 소개했죠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시작됐다. 그런데 여기 SF 속 이야기보다 더 거짓말 같은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에서부터 우리가 사용할 에너지를 뽑아낼 수 있다고 말하는 연구자들이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로저 펜로즈는 1969년 블랙홀을 두고 이상한 이론을 제안했다.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쟁점2. “학교 열었다면 피해 더 컸을 것”하지만 또다른 전문가들은 이런 연구결과를
바로
현재의 유행 국면에 적용할 수는 없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연구가 이뤄진 지난해 초여름은 국내에 코로나19 환자 수 자체가 적던 시기입니다. 당시 코로나19 일일 환자 수는 평균 36.3명이었습니다.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