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리터러시] 개인정보, 도대체 어디서 훔치는거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여행에 앞서, 안전하게 디지털 생활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주의사항을 알려주려 해요. 바로 ‘개인정보* 보호’입니다. 디지털 닉네임 「앨리스」 친구의 이야기 들어 볼까요? 전화한 사람은 도대체 앨리스의 개인정보를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요? 아래에서 앨리스가 쓴 SNS를 점검해 볼게요. 이렇게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위해 거리에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보면 사진을 찍고, 식물 앱으로 어떤 식물인지 바로 검색했다”고 답했다. 김 작가는 “소설의 선공개 버전을 쓸 때는 ‘환삼덩굴’을 모델로 모스나바를 만들어냈으나, 추가 자료조사에서 외관 이미지는 ‘아이비’에 더 어울린다고 판단해 모델을 ...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길이 순탄치는 않았다. 어린 시절, 숲보다 나를 매료시킨 대상이 또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우주였다. 과학동아에서 읽은 우주탐사 기사는 미지의 개척지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했고 우주를 동경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다음으로 흥미를 느낀 주제는 환경이었다. 당시는 기후변화에 대한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이 동경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θ라고 할 때 θ에 대한 삼각비가 바로 삼각함수죠. ① 사인함수( y=sinθ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면 원 위의 점 P는 (cosθ, sinθ)가 됩니다. 그러므로 사인함수는 θ의 변화에 따른 점 P의 y값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y=sinθ로 나타내죠. θ값이 점점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내가 심리학과를 선택한 이유는 대학에 입학했을 당시 가장 탐구하고 싶었던 대상이 바로 ‘나’였기 때문이다. 학창시절 조기유학으로 2년가량을 외국에서 보낸 나는 늘지 않는 영어와 잊혀져 가는 모국어 때문에 고통받았다. 그러다 가정 형편의 문제로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 ...
- [특집] ‘민주제도’를 이끌 새 이장은 누구~? 이장 선발 대소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선거에서 과연 누가 뽑힐까요? 당선 목걸이, 아니 당선 왕관을 손에 거머쥘 주인공은 바로….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민주제도’를 이끌 새 이장은 누구~? 이장 선발 대소동Part1. [특집] STAGE 1 투표 쇼핑몰. 여러분이 원하는 투표 방법을 고르세요!Part2. [특집] STAGE 2 쇼미더투표! ... ...
- [이슈] 별별자전거로 떠나는 세계여행, 자전거랜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스키 자전거 무더위를 피해 알래스카 앵커리지를 선택한 당신! 당신을 위한 자전거는 바로 스키 자전거입니다. 스키면 스키고 자전거면 자전거지, 스키 자전거가 대체 뭐냐고요? 스키 자전거의 원조는 1800년대 후반에 개발한 ‘스키 밥’입니다. 자전거 바퀴 대신에 스키를 단 형태였어요. 스키 ...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무게로 환산할 차례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익숙하면서도 색다른 이론이 필요합니다. 바로 질량과 에너지, 정보가 서로 보존된다는 ‘질량-에너지-정보 등가성 원리’입니다. 이것으로 매년 50%씩 증가하는 데이터를 무게로 계산하면 약 200년 뒤인 2245년에는 데이터의 무게가 지구의 절반에 이릅니다. ... ...
- [긱블 X 과학동아] 오늘 테슬라 주식은 떡상? 떡락? 일론 머스크 돈 복사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제작비가 많이 듭니다. 대신 컴퓨터에서 테슬라의 주식 정보만 쏙 꺼내올 겁니다. 바로 스크래핑(scraping)이란 기술을 통해서 말이죠.스크래핑은 웹페이지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해 내는 기술입니다. 가령 테슬라 주가 정보를 알 수 있는 웹페이지의 html 코드를 복사한 뒤, 여기서 현재의 주가와 ...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있다. 더 깊이 들어가면 고전적인 물리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물질의 상태도 존재한다. 바로 양자역학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 ‘양자 상태’다. 김 교수는 “양자 상태를 연구하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고체 물질의 성질을 찾을 수 있다”며 “이를 통해 물질을 더 잘 이해하고 자연현상을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