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배울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새내기 학생은 도서관에서 진화 관련 서적과 논문을 독학하는 길을 택했다. 어느 날 해밀턴은 그의 운명을 정한 책과 마주쳤다. 아직 케임브리지대에 재직하고 있던 로널드 피셔가 쓴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1930)이었다. 책을 펼치자마자 해밀턴은 “이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이먼 루이스 교수와 마크 매슬린 교수는 ‘네이처’ 2015년 3월 11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를 1400~1600년대 시작된 동식물의 대이동을 대표할만한 기록(표준층서구역)으로 보고 1610년을 인류세의 시작이라 주장했다.최근엔 또 다른 후보가 등장했다. 1945년이다. 이 때 일어난 생물학적 변화는 인구의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건과 관련된 정보를 들려 주거나 보여 줬을 때 뇌파가 어떻게 변하는지 등을 연구해 논문으로 내기도 했답니다.함 실장은 “아직 뇌파 분석만으로 최면의 효과를 단정하긴 어렵다”며, “앞으로 더 많은 사례를 통계로 분석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뽀삐의 냄새만 있으면 돼!2014년 3월, 전남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용량이 L*+D 이하인 경우가 항상 있다는 기존의 추측은 틀렸다고도 밝혔습니다. 1998년 논문에서 세 명의 수학자는 바꾼 문제의 답에 원래 문제의 답이 항상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것이 틀렸다는 것이지요. 그가 수억 개의 특수한 상황을 계산한 결과 반례가 딱 하나 있었습니다. 도시가 16개이고 서로 ... ...
- [과학뉴스] 아동 발달 (Child Development)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창간 85주년을 맞는 유서 깊은 아동 분야 학술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소아과학, 아동건강 분야 학술지 중 가장 높은 피인용지수(IF)를 자랑한다. 최근 5년 IF는 4.152로 높은 편에 속한다.주로 아이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요인을 다룬 연구가 실린다. 아동학대에 대한 유명한 ... ...
- [과학뉴스] 광자 셋의 칼군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연구진이 실험실에서 광자 3개를 얽힘 상태(entangled state)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궤도각운동량, 즉 뒤틀림 방향에서 ... 얽는 기술을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암호화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논문은 ‘네이처 포토닉스’ 2월 29일자에 실렸다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P-NP 문제는 1971년 미국의 전산학자 스티븐 쿡이 ‘정리 증명 절차의 복잡성’이라는 논문에서 처음 제기한 문제로, 컴퓨터로 풀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내용이다.1950년대 영국의 암호학자 앨런 튜링이 지금의 컴퓨터와 비슷한 튜링 기계와 인공지능 개념을 처음 고안했을 때만 해도, 과학자들은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오안니디스 교수는 2005년 ‘왜 출간된 연구 결과들은 대부분 거짓인가?’ 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의학과 생물학 등의 분야에서 학술지에 출간된 연구들 중 상당수가 재현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재현 불가능한 연구 결과들이 학술지 지면을 차지하게 되면 많은 부작용들이 생긴다. 연구의 ...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카톨릭대 연구팀이 케플러망원경으로 우주에서 가장 큰 암석 행성을 찾아냈다고 1월 28일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밝혔다. 지름이 지구의 2배 이상이고, 질량은 16배가 넘는 이 행성의 이름은 BD+20594b로 2015년 처음 발견됐다. BD+20594b는 밀도가 1cm3 당 8g으로 지구의 5g 보다도 밀도가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옮긴다. 모기 몸속에서 두 바이러스가 섞여 유전자를 주고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논문은 밝히고 있다. 소두증뿐 아니라 길리안바레증후군도 유전자 변이와 관련 있을 수 있다는 언급도 있다. 길리안바레증후군은 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겨 근육에 마비가 오는 질환이다. 2013년에서 2014년까지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