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뉴스
"
전염
"(으)로 총 1,713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성물질 보톨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
과학동아
l
2018.04.05
효과가 있는지를 관리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
전염
병 예방법에 따라 보툴리눔 균에
전염
된 가축은 없는지 관리한다. 하지만 이 중 보툴리눔 균주의 발견 경위를 감독하는 부처는 없다. 대다수의 나라들이 보툴리눔 독소를 취급하기 전에 안전점검 등의 절차를 거쳐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 ...
[사이언스 지식IN] 돼지에서 첫 발생 A형 구제역...소 백신 써도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있는 이유입니다. 반면 구제역바이러스는 강산(PH6.52)나 강염기(PH11.22)에만 약하기 때문에
전염
을 막으려면 구연산이나 가성소다로 소독해야 합니다. Q4. 농식품부가 예방을 위해 소에게 쓰려고 준비했던 백신을 돼지에게 맞춘다고 하는데요. 가축에 상관없이 사용해도 되는 건가요? 농식품부는 ... ...
훌륭한 연구 성과 뒤에 보이지 않는 ‘금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결과가 달라진다.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당연하다. 공기를 타고 미생물이
전염
될 수도 있어 필터로 환기도 직접 제어해야 한다. 모든 것을 통제하는데도 실험 모델은 계절에 따라 상태가 미묘하게 바뀔 정도로 예민하다. 물고기 실험모델인 제브라피시를 연구하는 이윤성 ... ...
日 의대 교수 된 수학자…“
전염
병 조기 예측 기여하고파”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14년 사이의 6개 탈북자 그룹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탈북자들이
전염
병 중에서도 ‘삼일열원충 말라리아’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같은 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조차도 아직까지는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인 대응이 미흡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강력한 신념에 가려질 뻔한 네안데르탈인의 진실
2018.03.11
그는 위대한 의사였습니다. 가난한 자를 위한 공공 보건의 필요성을 주창했습니다.
전염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와 공공 교육을 제공하고, 부유층에게 세금 부과 등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죠. 정치는 큰 규모의 의료일 뿐이라 주장했습니다. 심지어 보건 예산을 국방비로 돌리려는 ... ...
음식 알레르기가 의심된다면?
2018.02.25
나라로 번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료계의 흐름에 따라 최근 미국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
병 연구소에서는 음식 알레르기와 관련해 많은 사람들이 불필요한 검사를 받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미국 어린이의 5%, 성인의 4% 정도가 음식 알레르기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알레르기와 관련해 굳이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콕 집어 검출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08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우리나라에서 겨울철부터 초봄까지 기승을 부리는 바이러스로
전염
성이 매우 높다. 내일 동계올림픽 개막식이 열리는 평창에서도 8일 오전까지 모두 86명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돼 격리 조치되기도 했다. 식품이 유통되기 전, 식중독 균을 없애기 위해 살균 과정을 거친다. ... ...
인플루엔자 항체 있는 사람, 독감 걸려도
전염
성 낮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의 줄기 부분에 대한 항체 수치가 높은 사람일수록 독감
전염
성 역시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미국 미생물분야 학술지 엠바이오(mBio) 2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항체가 인플루엔자 전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8세에서 ... ...
담요만 덮어도 도울 수 있어요! 야생동물 크라우드 펀딩 화제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예상했다. “사람과 야생동물이 만났을 때 결과는 대부분 좋지 않아요. 유해 조수나
전염
병 매개체로 취급되지 않으면 다행이지요. 하지만 함께 공존해야 하는 집단이고요. 야생동물 구조센터는 문명과 야생 동물 사이의 다리 같은 곳이에요. 이번 작업으로 많은 분들이 센터의 역할을 ... ...
[미래산업②]新시장 혁명 나선 한국형 인공장기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사람 몸에 돼지 장기 이식하는 시대 이종장기 이식에 필요한 미니돼지. 인수공통
전염
병 예방을 위해 철저한 무균환경에서 키우기 때문에 ‘무균돼지’라고도 불린다. - 서울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제공 인공장기 기술 중 현재 가장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것은 다른 동물의 장기를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