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뉴스
"
전염
"(으)로 총 1,709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10인’에 IBS 김진수·김빛내리 단장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06.28
자원화하는 바이오 연료를 개발한 수자나 유숩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공대 교수 △
전염
병에 대한 장내 기생충의 면역 반응을 규명한 이본느 아이 리안 림 말레이시아대 교수가 선정됐다. 다만 이번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 선정에서는 막대한 자본 투입과 함께 세계 최초, 세계 최고 신기록을 ... ...
“치매 원인은 물집 만드는 흔한 바이러스” 미국 연구팀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6.22
바이러스는 피부나 입, 입술, 눈, 성기 등에 통증을 동반한 물집을 만드는 바이러스다.
전염
성이 높아 북미 지역 어린이 대부분(약 90%)의 혈액에서 한 종 이상을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흔하다. 연구팀은 이 바이러스가 뇌에 감염된 경우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사진 ... ...
개 사이에도 독감 대유행 덮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아주 드물게 보고돼 왔다. 15년 전 말에서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개로
전염
될 수 있다는 게 처음 확인된 바 있다. 5년 전 중국 광동성의 농장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변종인 H3N2 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바이러스 표면의 수용체와 그 설명이다. 흔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음이 허(虛)하면 소유물에 집착한다
2018.05.22
앉으면 병원체에
전염
되는 것처럼 말이다. 2016년 발표된 한 논문에서는 ‘역행
전염
(backward contagion)’이라는 흥미로운 현상을 소개하고 있다. 아이에게 동년배 동성 아이의 사진을 보여주며 “이 아이는 친구를 때리고 부모님과 선생님 말씀을 안 듣는 골칫덩어리”라고 말한 뒤 “너가 좋아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병독성 차이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아직 모른다. 아무튼 SFTS바이러스가 생각보다는
전염
성이 강하다는 정황이 나오고 있다. 즉 지난해 일본에서는 길고양이를 쓰다듬어주다 물린 40대 여성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했고 자신의 반려견에게 감염된 남성도 나왔다. 숲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그리고 호모 사피엔스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학계에서는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은
전염
병, 기후 변화 등 급격한 환경 변화 때문이라는 가설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초기 호모 사피엔스와의 경쟁에서 뒤쳐졌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2016년 2월 마커스 펠드만 스탠퍼드 ... ...
독성물질 보톨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
과학동아
l
2018.04.05
효과가 있는지를 관리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
전염
병 예방법에 따라 보툴리눔 균에
전염
된 가축은 없는지 관리한다. 하지만 이 중 보툴리눔 균주의 발견 경위를 감독하는 부처는 없다. 대다수의 나라들이 보툴리눔 독소를 취급하기 전에 안전점검 등의 절차를 거쳐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 ...
[사이언스 지식IN] 돼지에서 첫 발생 A형 구제역...소 백신 써도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있는 이유입니다. 반면 구제역바이러스는 강산(PH6.52)나 강염기(PH11.22)에만 약하기 때문에
전염
을 막으려면 구연산이나 가성소다로 소독해야 합니다. Q4. 농식품부가 예방을 위해 소에게 쓰려고 준비했던 백신을 돼지에게 맞춘다고 하는데요. 가축에 상관없이 사용해도 되는 건가요? 농식품부는 ... ...
훌륭한 연구 성과 뒤에 보이지 않는 ‘금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결과가 달라진다.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당연하다. 공기를 타고 미생물이
전염
될 수도 있어 필터로 환기도 직접 제어해야 한다. 모든 것을 통제하는데도 실험 모델은 계절에 따라 상태가 미묘하게 바뀔 정도로 예민하다. 물고기 실험모델인 제브라피시를 연구하는 이윤성 ... ...
日 의대 교수 된 수학자…“
전염
병 조기 예측 기여하고파”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14년 사이의 6개 탈북자 그룹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탈북자들이
전염
병 중에서도 ‘삼일열원충 말라리아’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같은 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조차도 아직까지는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인 대응이 미흡한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