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진정
사실
순정
순수
본인
참
d라이브러리
"
진짜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당신의 표정을 보니 한시라도 빨리 지구로 돌아가고 싶군요. 좋아요. 마지막대결은
진짜
자연 속에서 펼쳐 보도록 하지요. 주말인 4월 18일과 25일, 가까운 곳에 있는 작은 언덕이나 숲, 공원에 가 보세요.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와 스케치북 한 권을 펼쳐 들고 생태지도를 그려 보세요. 친구나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는 판에 올려 놔 봐. 해당하는 생물이 스크린에 나타나면서 소리가 난단다.와우!
진짜
수영을 한 것보다 더 신나게 바다 속을 탐험 한 것 같아. 게다가 바다에 관한 책도 실컷 볼 수 있어. 친구들도 오고 싶다고? 바다를 사랑하는 마음만 있다면 언제든지 환영이야. 그럼 작은 바다, 코르디움에서 또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가득한 복잡한 곳이라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은하 중심에
진짜
블랙홀이 있는지는 많은 천문학자들이 제기해온 의문이었다.1970년대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강한 전파원(전파가 관측되는 원천)이 발견돼 이 전파원은 ‘궁수자리 A*’로 명명됐다. 궁수자리 A*는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알 수 없지만) 초능력이란 사실 ‘눈속임 마술’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짜
초능력을 보이는 사람에게 100만 달러를 주겠다고선언하기도 했다.재미있게도 가드너 또한 마술에 상당한 재능을 보인 아마추어 마술사였다. 그의 칼럼에서도 때때로 수학적인 마술 트릭을 소개하곤 했다.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모래톱의 생태학적 가치를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모래톱이 있는 강이야말로
진짜
살아 있는 강이라는 주장도 나온다.어느 쪽이 진실일까.그 진실에 조금이라도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지난 6월 11일, 낙동강 공사구간의 모래톱을 찾는 환경재단 현장 답사에 동행했다. 관동대 토목공학과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하라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감정을표현하는 것이죠.
진짜
로 감정을 느끼는 것은 아니에요. 실제로 감정을 가진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답니다.기계들끼리도 대화한다?미국의 타임지는 2009년 최고의 발명품으로 ‘사물의 통신(The internet of things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스툽교수팀은 큰 상처를 입은 나노섬유를 이식해 환자에게 인공피부가 아닌
진짜
피부를 선물했다. ▲ 나노섬유로 만든 그물망. 세포가 본래 환경과 같이 3차원적으로 자랄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녹색 환경을 지켜라! 바이오플라스틱아무리 똑똑하고 사람을 살리는 재주가 있다 해도, 환경이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바라는 우주 임무를 담아 멋진 미션패치를 만들었어. 특별 인터뷰우주인이 들려 주는
진짜
우주인 이야기캠프 마지막 날, 우리는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우주인 후보였던 고산 형을 만날 수 있었어. 고산 형은 미래의 우주인을 꿈꾸는 우리에게 생생한 우주인 훈련 이야기를 들려 줬지. 그리고 꼭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카메라 셔터를 연방 누른다. 흙이 잔뜩 묻어 있어 얼핏 보면 나뭇가지처럼 보이지만,
진짜
정체는 사람의 넓적다리뼈란다. 뼈가 발견된 호에서 불과 2~3m 떨어진 자리에는 흰 한지가 덮여 있다. 전날 함께 발견된 뼈를 임시로 덮어 놓은 것이다. 산 중턱을 가르는 교통호 일대에서는 넓적다리뼈를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변한다. 비행체의 움직임에 따라 모니터의 수치가 수시로 바뀐다. 시야에서 멀어지자
진짜
새와 구별이 안 갔다. 날갯짓은 물론 꼬리의 움직임까지 영락없는 새처럼 보인다. 그 때문일까. 인근 어은 동산에 서식하는 쇠백로 몇 마리가 비행체의 꽁무니를 뒤쫓는다.새·곤충을 닮은 로봇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