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진정
사실
순정
순수
본인
참
d라이브러리
"
진짜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흥미롭게도 Car4와 PKD2L1는 같은 세포에 분포한다. 그러나 주커 박사팀이 찾은 PKD2L1가
진짜
신맛 수용체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아무튼 지난 10여 년 동안 주커 교수는 오랜 친구인 리바 박사와 함께 미각의 신비를 밝히는 데 헌신해 왔다. 그는 “신경생물학 연구를 20여 년 수행한 지금에도,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알기 위해 시험이 필요해요. 수업을 들을 때는 알았더라도 배운 것을 응용할 수 있어야
진짜
아는 것이거든요.모든 나라에서 수학을 배우고는 꼭 시험을 친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시험은 학생의 현재 수준을 알기 위한 과정이에요.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시험이 수준에 대한 ... ...
전자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전자잉크(e ink)가 글자를 만들기 때문에 보는 메커니즘이 종이에 잉크가 프린트 된 ‘
진짜
책’에 가깝다. 즉 종이책이나 킨들은 종이(디스플레이)에 반사된 빛을 통해 글자를 읽지만(따라서 어두운 곳에서는 둘 다 책을 볼 수 없다), PC나 아이패드는 LCD의 백라이팅의 빛이 직접 눈으로 들어오는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발견했다. 예를 들어 매수당해 친구의 커피에 독약을 타 살해하려고 한 사람이 실수로
진짜
설탕을 타 살해기도가 무산되는 장면을 봤다고 하자.이 경우 독살을 실행하지 않았더라도 친구를 죽이려고 한 사람을 살인자 버금가게 죄질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오른쪽측두정엽이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 아시죠? 정말 밥 한 끼 먹을 돈도 없었는데…. 비록
진짜
보물은 아니지만 이렇게 상금을 받았으니 보물을 찾은 거나 다름없죠. 하하. 한동안 편히 여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달 퍼즐은 세 번째로 소개된 퍼즐과 같은 방법으로 풀면 된답니다. 정답을 아는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만든 백신은 신체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가벼운 증상을 일으킨다. 하지만 후에
진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미리 투여된 백신 덕분에 2차 면역반응이 신속하게 유도된다. 바이러스(컴퓨터공학) ① 정의 : 자기 자신을 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가능한 부분을 ... ...
달콤쌉쌀한 첫사랑에 빠진 도형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주방장은 재빨리 음식을 다시 내온다.“음~! 이스탄불 최고라는 말이 정말이었어요.
진짜
맛있어요.”“이 정도 맛이라면 경성에서도 먹히겠어!”문제를 해결하고 맛있는 음식을 대접받은 허풍과 도형.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표정을 짓는다.“혹시 오벨리스크는 둘러 봤니?”주방장의 딸인 미네가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덧붙여 봐. 하지만 여전히 가로와 세로의 개수는 아홉 개씩이 되도록 만들어야 해. 이게
진짜
문제야.”공주는 또다시 지오를 빤히 보았다. ‘요건 모를걸!’하는 눈치였다. 사실 이 정도는 지오에겐 문제도 아니었다. 단박에 산대를 올려 문제를 풀어 버리고 싶었다. 하지만 공주를 골려 주고 싶은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떨어져 나갈 수 있으니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미지근한 물을 뿌려 녹여서 떼어 내야 한다.
진짜
총알만큼 아찔한 장난감 총알장난감 총알과 관련한 안전사고도 해마다 100건 이상씩 일어나고 있다. 규정에 따르면 어린이용 장난감 총은 0.08J(1J : 1뉴턴의 물체를 1m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 이하의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떠 있는 물체는 공기의 흐름을 받으며 계속 움직여야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타는
진짜
헬리콥터라도 호버링은 까다로운 기술이다. 헬리콥터를 띄우려는 양력과 앞으로 나아가려는 추력의 합이 중력과 항력의 합과 꼭 같아야 한다. 바람이라도 불면 이런 규정을 맞추는 일은 더 까다롭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