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점프하는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를 만들었어요. 고무는 금속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에너지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어요.점프로치는 다리에 달린 고무줄을 늘였다가 한순간에 놓는 방식으로 높게 점프를 한답니다. 기존 로봇들이 1m도 채 뛰지 못했던데 비해 점프로치는 무려 1.62m나 뛰었어요!또한 ... ...
- Intro. 바닷물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안녕! 나는 바다초등학교 4학년 김물이야. 나는 물을 가지고 노는 게 너무 좋아~! 언제 어디서든 수도꼭지만 열면 물이나오잖아! 물을 콸콸 틀어놓고 물장난을 하는 거지. 세수를 하거나 이를 닦을 때도 물장난을 하면 지루하지않고 재밌다구. 크크~. 헉! 그런데 갑자기 왜 물이 안 나오지? 머리 감으 ...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방법도 여전히 문제가 있어요. 바닷물을 증발시킬 때처럼 큰 공장을 만들어야 해서 에너지가 많이 들지요. 또 바닷물에는 염분 외에도 여러 물질들이 많은데, 이들이 막의 구멍을 막아버려요. 그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염분을 거르는 효율이 줄어들지요. 그래서 주기적으로 막을 바꿔 줘야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강력하고 치명적인 무기는 핵무기다. 핵무기는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에너지를 이용한 무기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인류 최초의 핵무기 개발에 성공했다. 여기에는 닐스 보어, 엔리코 페르미, 존 폰 노이만,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스타니스와프 울람과 같은 당대 최고의 ... ...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과학동아 l2017년 06호
- 4분의 1 정도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우주에 머물 수 있다. 2010년부터 지금까지 총 네 차례 우주에 머물면서 베일에 싸인 임무를 수행했다.미국 공군은 X-37B의 임무가 공군에서 사용할 신뢰도 높은 재사용 무인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실을 밝혀냈다.방사성 물질에서 방사능이 얼마나 줄었고 치아 법랑질에 있는 결정에서 에너지가 얼마나 변했는지 등을 종합한 결과다. 이에 따라 호모 날레디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일정 기간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연구팀은 최근, 호모 날레디가 처음 발견된 구덩이로부터 약 100m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음악만 수학을 만드는 게 아니죠. 수학으로 음악을 만든 역사는 훨씬 오래 됐습니다. 클래식 음악에 기여한 수학적 작곡법부터 최신 이슈까지 살펴봅시다.주사위만으로 음악을 만들면 어떨까.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792년 ‘음악적 주사위 놀이’라는 왈츠 작곡법을 발표했다. 주사위 두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백 교수는 이들에 전기를 공급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주변의 에너지원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을 떠올렸다”면서 “특히 정전기 현상을 이용한 나노발전기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번개구름을 흉내 내서 만든 ‘고효율 나노발전기’다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태양열도, 핵융합도 쓰지 않았다. 시간여행의 기술을 발전에 쓰고 있는 게 분명했다. 에너지 생성용 터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발전한 인공지능이 필요하다. 아무리 이들의 능력을 인공적으로 제한하고 통제한다고 해도 신의 씨앗에서 겨우 몇 걸음밖에 떨어져 있지 않을 것이다. 일단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바로 태양이랍니다. 자연에서 오는 태양의 빛과 열을 이용할 수 있다면 조명과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 태양빛은 동식물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도 필수 요소지요.과학자들은 수백m 아래 지하 도시로 태양빛을 보내기 위해 ‘광섬유’를 연구하고 있어요. 유리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