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있는 것’이라 여기는 나이를 초월한 진지함을 지닌 두 소년을 따라 태국 탐사를 떠나 보자!태국, 전통을 만나다!탐사대의 첫 일정은 태국 중심부에 위치한 수완나품 공항에서 300km 가량 떨어진 ‘카오 펭 마’에서 시작됐다. 흐린 날씨 탓에 일출을 보지 못한 아쉬움도 잠시, 태국 현지의 문화와 ...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현재 우리는 중력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앞으로 무엇을 더 파헤쳐야 하는지 알아보자.또 무슨 일이 벌어질까. 지구와 달의 중력이 사라진다면 당연히 달도 지구를 벗어나 제 갈 길을 간다. 달의 영향을 받아 생기던 조수간만의 차도 사라진다. 은하 주위를 공전하던 태양도 오랜 시간이 흐르면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잊어버리고, 영화 속 모습처럼 그렇게 두 세계가 다른 방향으로 중력을 받는다고 생각해보자. 어떤 물체가 있다면 두 세계가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길 테니, 중력이 상쇄된다고 할 수 있다. 높이 올라갈수록 다른 세계의 중력이 강해지다가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 도착하면 무중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전혀 모르는 사이인 사람 3명이 반드시 있으려면 최소 몇 명을 초대해야 하는지 구해 보자. 그런데 만약 3명을 2명으로 바꾸면 답은 아주 간단해진다. 어떤 두 사람을 초대해도 둘은 서로 친구이거나 모르는 사이기 때문이다.하지만 3명이 되면 답은 쉽게 구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치, 희열, ...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안쪽에 사무실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큰 소리로 말했다.“저 안쪽으로 들어가 보자.”모두 사무실 쪽으로 조심스럽게 다가가 보니 말 소리가 들렸다.“캬캬. 중앙 장치의 에너지가 100에 다다르면 이 행성의 중력은 완전히 역전될 거야. 그럼 우리 별 사람들이 살기 적당한 환경으로 전환되며 ...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저 사기꾼에게 엄벌을 내려 주세요~. 저 사람 때문에 빈털터리가 됐다고요~.어디 보자 …. 승부 예측 사기 사건이라 ~. 쯧쯧 …. 공내기 씨, 어쩌다 이런 실수를 하셨소? 확률만 제대로 계산 했어도 여기 올 일은 없었을 텐데 말이요. 이 사건은 보나마나 공내기 씨의 패소!축구광인 공내기 씨는 어느 날 ...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3년 02호
- 개이고 길이는 그대로다.또한 뫼비우스 띠의 가장자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어붙이면, 보자기를 대각선으로 집어서 묶은 형태의 곡면이 생긴다. 이 곡면을 ‘사영평면’이라고 하는데, 어떤 한 지점에서 계속해서 걸으면 어느새 좌우가 바뀌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이한 수학적 성질은 ...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기자가 일하는 회사의 구내식당 점심시간. 메뉴를 보자마자 한숨이 나온다. 한식과 일품 요리 두 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한식은 돼지고기를 넣고 끓인 뚝배기 ... 큰 문제다. 그러니 채식을 하는 사람도, 채식을 한 번쯤 꿈꾸는 사람도 꼭 낯설게 따져보자. “채식, 정말 몸에 좋을까 ... ...
- 용의자 X의 수학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가설이 사실임이 확인되었다.수학은 난제 풀기의 역사이 영화를 수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한마디로 ‘난제를 푸는 것’이다. 즉 수학적인 난제처럼 보이는 알리바이를 만들어 놓고 이를 형사가 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스포일러를 살짝 섞으면 엉뚱하게 풀게 하는 것이다.이쯤 되면 유명한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원하는 학과가 어떤 계열인지 확인하면 계열을 선택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계열을 정해보자!자, 이제 ‘과연 나는 어떤 계열을 선택해야 할까’가 문제일 것입니다. 인문과 자연의 큰 틀은 성격이 너무 다른 길이기 때문에 신중히 잘 선택해야 합니다. 학과는 나중에 원서 쓸 때 바꿔도 큰 무리가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