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중의 하나이다.푸앵카레 추측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3차원 공간에 있는 구를 생각해
보자
. 아이가 들고 있는 농구공에 개미가 기어가고 있다. 개미에게는 자신이 있는 농구공의 표면이 보통의 2차원 평면과 다름이 없을 것이다. 수학자들은 이를 ‘국지적으로 2차원 평면’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주고받았다. 과연 어떻게 행성 간 인터넷이 가능한지 빈트 서프 부사장에게 들어
보자
(기자가 구글 본사 방문시 출장 중이어서 e메일 인터뷰로 진행했다).행성간 인터넷 접속, 어디까지 진행됐나요?우주 공간에서의 통신은 자주 지연되거나 끊겨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강력한 프로토콜(통신 규칙)과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해안선과 똑같은 배열이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로렌츠 끌개의 두 날개를 살펴
보자
. 수많은 날개들은 각각 비슷한 형태가 무수히 반복되며 전체적으로 같은 형태를 하고 있고 있다. 다른 이상한 끌개들 역시 복잡하지만 프랙탈의 패턴을 보여 준다.파이겐바움이 카오스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태양계 행성 천해토수목화지금행성 표면의 최저온도 순서로 태양계행성을 다시 배치해
보자
.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행성은 천왕성이다. 해왕성이 태양에서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데 천왕성이 가장 추운 이유는 뭘까?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해왕성 내부에서 방사능 붕괴가 일어나 열을 많이 내놓기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열린다. 멋진 입체 조형 작품으로 탄생한 종이의 화려한 변신을 지금부터 감상해
보자
.툭~! 하고 튀어나오는 재미! 팝업 북누구나 한 번쯤은 입체 카드를 받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카드를 펼치면 케이크나 계단 등 입체로 된 형태가 나타나, 재미는 물론 특별함을 더한다. 입체카드의 원리를 책에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원숭이 한 마리가 우리가 원하는 단어 ‘love’를 치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알아
보자
. 그러기 위해서는 두 가지 가정을 해야 한다. 첫 번째는 원숭이에게 계속해서 네 글자만 치게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원하는 단어를 치지 못하면 계속해서 다른 종이를 끼워 주는 것이다.원숭이가 알파벳만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않은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재료 중 수소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
보자
. 핵실험 직후 ‘네이처’는 “보다 고성능 폭탄을 의미하는 중수소나 삼중수소 기체 사용 여부”에 관심을 보였다. 일본 언론도 실험 한 달 전부터 “북한이 수소를 사용하는 폭탄을 시험할 수 있다”고 ... ...
내 마음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흡족해한다. 그런데 다음 날 사형수를 진찰했던 의사가 뜻밖의 말을 한다고 해
보자
. “진찰 결과 감정과 행동충동을 조절하는 뇌의 부위에 종양이 발견됐다.” 혼란스러워진다. 그의 범죄는 남에게 해를 끼칠 의도 때문에 일어난 게 아니다. 생물학적인 현상에 굴복한 것뿐이다. 여기에 의지가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현재 우리는 중력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앞으로 무엇을 더 파헤쳐야 하는지 알아
보자
.또 무슨 일이 벌어질까. 지구와 달의 중력이 사라진다면 당연히 달도 지구를 벗어나 제 갈 길을 간다. 달의 영향을 받아 생기던 조수간만의 차도 사라진다. 은하 주위를 공전하던 태양도 오랜 시간이 흐르면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잊어버리고, 영화 속 모습처럼 그렇게 두 세계가 다른 방향으로 중력을 받는다고 생각해
보자
. 어떤 물체가 있다면 두 세계가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길 테니, 중력이 상쇄된다고 할 수 있다. 높이 올라갈수록 다른 세계의 중력이 강해지다가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 도착하면 무중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