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물이 액체 상태로 있을 것으로 추정돼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고, 크기도 지구의 1.3배 정도로 비슷할 뿐만 아니라 지표면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프록시마 b가 정말 인류가 살 수 있는 곳으로 확인된다 하더라도 근본적인 문제는 따로 있다. 인간이 프록시마 b까지 어떻게 ... ...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굴토끼를 길렀어요. 시베리아 반도와 아프리카 북서부 지역에서 서식하던 굴토끼는 배를 타고 점차 전세계로 퍼져 나갔지요. 11세기 유럽 남서부 지역에서 사람들이 굴토끼를 기르기 시작하면서 오늘날의 집토끼가 탄생했답니다. 야생 굴토끼는 새끼를 낳으면 지하에 구멍을 파서 보금자리를 ...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세계자기장모델의 수정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실질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배건 연구원은 “수정된 모델은 일부분에 불과하다”며 “55도 이하의 위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도 교수도 “일반인에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북극을 항해하는 선박이나 군대, 탐험가나 북극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충돌시켜 잉크를 접합시키는 방식이어서 고분자 물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를 배합해 쓸 수 있다. 하지만 공기와 함께 입자를 충돌시켜 쌓는 방식이어서 정교함이 떨어진다. 때문에 불필요한 부분은 잘라내야 한다. 이를 위해 진공 상태에서 전기장을 이용해 속도를 높인 집속이온빔 기술을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전파 대역에서 동일한 분해능을 얻으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광학망원경에 비해 수천 배 이상 커야 한다. 그렇다면 블랙홀을 굳이 전파 대역에서 관측할 필요가 있을까?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이유는 빛의 파동성을 활용한 간섭계 기술로 지구만한 크기의 가상 망원경을 만드는 일이 ... ...
- [과학뉴스]비행기가 지나간 곳엔 비가 내린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비행기가 지나가는 지역은 강수량이 6~14배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디미트리 모이시프 핀란드 헬싱키대 대기및지구시스템연구소 교수팀은 2008년 12월~2018년 1월 헬싱키 반타공항의 기상 레이더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반복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하는 특징적인 현상을 17차례 ... ...
- [과학뉴스] 배아 수호하는 남성 호르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통해 임신한 쥐에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인 이부프로펜을 투여하면 수컷과 암컷 배아의 생존율이 비슷해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연구팀은 인간에게도 이 실험결과를 적용할 수 있을지 연구할 계획이다.doi:10.1038/s41586-019-0936-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화석 등 고고학 정보 중 디지털화되지 않은 정보가 이미 디지털화를 완료한 것보다 23배나 많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지난해 9월 5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98/rsbl.2018.0431마셜 교수는 논문에서 “이는 전 세계로 확대하면 실제 가지고 있는 화석 정보의 오직 3~4%만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전체에 깔면 그만큼 저항이 커진다. 광학필름 방식은 디스플레이 전체에 광학필름을 배치할 경우 빛의 이동 통로를 설계하는 게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안 박사는 “광학필름 방식이 대면적화에는 가장 불리할 것으로 예상 된다”며 “대면적화와 함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한 ... ...
- [수학뉴스] SNS 계정 삭제해도 사생활 샌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관계를 통해 개인정보를 어디까지 얻을 수 있는지 보고한 첫 사례입니다. 제임스 배그로우 버몬트대 수학및통계학과 교수는 “소셜미디어를 할 때 많은 사람이 자신의 정보만 드러난다고 생각한다”며, “자신뿐만 아니라 친구의 정보도 공개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