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구실"(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콤함이 가득! 과학자들의 사탕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3.13
- 얇은 실이 뭉쳐 있는 모습이 마치 몸속에 퍼져 있는 모세혈관과 비슷하다고 본 연구팀은 연구실에 솜사탕 기계를 설치하고 인공혈관을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어요. 솜사탕 기계로 인공 혈관을 만드는 모습(왼쪽)과 연구팀이 제작한 인공 모세혈관(오른쪽). - Joe Howell, Bellan Lab, Vander bilt 제공 ... ...
- “알파고의 묘수는 스타일… 이세돌戰 위해 분산처리 알고리듬 강화”2016.03.12
- 둘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박사후연구원(포스트닥터) 생활을 하며 같은 연구실을 사용한 적이 있다. 이 교수가 초청하자 기꺼이 응한 것이다. 한편 강연장인 드림홀은 200개 좌석이 다 들어찼을 뿐 아니라 통로에도 학생과 교수들이 자리를 잡았다. 드림홀에 들어가지 못한 학생들은 문 ... ...
- [알파고 2승] AI, 그 끝은… ‘인공두뇌’2016.03.11
- 탈수록 더 안전한 자동차가 되는 셈이다. 김현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식마이닝연구실장은 “딥러닝이 적용된 AI는 인간의 정확한 판단을 도울 수 있고, 인간은 창의적인 지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딥러닝 기술은 슈퍼컴퓨터급 대용량 연산 기능이 ... ...
- [알파고 1승]알파고, 셀프대국 통해 학습능력 키워… 5개월새 놀라운 진화2016.03.10
- 수 있는 ‘딥러닝’ 기법을 덧붙였다. 손영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스마트홈팩토리연구실 책임연구원은 “기본 알고리즘을 바꾸지 않고 단기간에 실력을 올리는 방법은 딥러닝 강화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번 대국으로 알파고가 이 9단과 맞붙은 경험이 축적된 만큼 앞으로 알파고에 더 ... ...
- [팟캐스트 ‘과학동아 Live’ ②]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03.06
- 활용된다. 그것 때문에 대학에서도 연구 목적으로 그래픽 카드를 많이 구입하고 있다. 연구실에 장비를 납품하는 분이 ‘교수들이 왜 이렇게 게임을 많이 하냐’고 물을 정도다.(웃음) ※참고※ 알파고는 어떻게 바둑을 둘까 알파고는 두 가지 신경(network)에 의해 의사결정을 내린다. 먼저 바둑 ... ...
- 맹산은 우리가 지킨다! 파워에너지 팀어린이과학동아 l2016.02.25
- 등은 많이 찾았지만, 수윈청개구리는 직접 보지 못해 많이 아쉬웠어요. 장이권 교수님의 연구실에서 기르는 수원청개구리를 보긴 했지만 너무 꼬맹이였고, 유리통 안에 있어서 만지지도 못했거든요. 그러다가 익산까지 수원청개구리를 찾으러 가서, 직접 봤을 때의 기억은 잊을 수가 없어요. ... ...
- LTE 270배 5G 시연… MWC에 부는 ‘모바일 한류’동아일보 l2016.02.23
- 기가바이트) 용량의 초고화질(UHD) 영화 한 편을 8초 만에 전송할 수 있다. 그동안 제한된 연구실에서 진행해온 5G 속도 시연과 달리 공공 트래픽과 건물, 기지국 간섭 등 방해 요소가 많은 공공장소에서 20Gbps를 넘는 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KT도 2018년 평창 ...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下·끝] 출연연 벽 허물고 뭉친 ‘어벤저스’2016.02.19
-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책도 마련해 융합의 걸림돌을 제거했다. 출연연이 연구실 벽을 허물고 융합연구단을 도입하게 된 배경에는 한때 출연연의 근간을 흔들어놓은 통폐합 논란이 자리 잡고 있다. 출연연에서 진행하는 R&D가 중복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고, 출연연 사이의 ... ...
- 애플의 ‘시리’ 넘어선 3세대 음성인식 서비스2016.02.19
- 교수팀이 음성인식로봇 '쿠봇(KUBOT)'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 고려대 지능신호처리연구실(ISPL) 제공 “새로 온 e메일 좀 확인해줘.”(연구원) “한 통이 있습니다.”(로봇)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의 한 연구실. 키 160cm인 로봇 ‘쿠봇(KUBOT)’이 연구원과 한창 대화 중이다. 쿠봇의 ...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中]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TDX에서 차세대 무선이동통신까지2016.02.12
- 한국 위키백과를 통해 신조어를 꾸준히 학습하며 실력을 쌓고 있다. 김현기 지식마이닝연구실장은 “현재 장학퀴즈 주장원전에서 우승할 정도의 수준”이라며 “앞으로 영어와 같은 외국어 지식도 습득해 특허나 법률, 의료 등 전문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상용화하는 것이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