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요일에 만난 사람]“AI, 고차원 계산기일 뿐… 결국 사람의 판단이 가장 중요”
동아일보
l
2016.04.09
오랜 축적의 산물입니다. 우연히 그 자리에 있는 사람이 그 일을 해냈을 뿐이죠. 사카타
연구실
의 축적된 연구가 없었다면 새 이론도 탄생할 수 없었죠.” 경 쟁보다는 협력, 서로를 존중하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이들은 현대 입자물리학의 중심 개념인 ‘대칭성 깨짐’을 수학적으로 정리해냈다. ... ...
수중 드론으로 바다 속 초정밀 지도 완성
2016.04.09
등 관련 산업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선철 포스텍(포항공대) 극한환경로봇
연구실
교수팀은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 장길리 앞바다 일대 500㎡(약 151평)에 대한 정밀 해저지도를 제작했다고 8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바닷속 영상을 얻으려면 무선조종잠수정(ROV) 등을 바닷속에 내려보내 ... ...
트랜지스터 값 절반으로 낮출 기술 첫 개발
2016.04.08
제작하는 기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최지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희유자원활용
연구실
선임연구원은 7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기판 위에 잉크 형태의 용액을 떨어뜨려 부착시키는 ‘스핀코팅’ 기법을 이용해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논문의 제1 ... ...
北, GPS 교란 어떻게 막나
2016.04.08
완벽히 차단하는 건 어렵다고 설명한다. 이상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위성항법레이더
연구실
책임연구원은 “GPS 신호 교란은 별빛을 보고 길을 걷고 있는 사람 옆으로 헤드라이트를 비추는 격”이라며 “GPS 교란 공격이 발생할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술로 대응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 ...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
2016.04.05
소개됐기 때문이다. 법의인류학자로서 박사과정을 보낸 5년 동안 이곳이 나의 일터이자
연구실
이었다. 시체농장을 설립한 사람은 테네시대 인류학과장이었던 윌리엄 배스 교수다. 그는 1977년 한 사건을 의뢰받았다. 파헤쳐진 무덤 속에서 턱시도 차림의 변사체가 앉은 채로 발견됐다. 배스 교수는 ... ...
국내 첫 인공지능(AI) 전문 커뮤니티 ‘AI코리아’ 운영자
2016.04.05
진학한 그는 4년 만에 MIT 학부와 석사과정을 모두 5.0 만점으로 졸업했다. MIT의 인공지능
연구실
에서 컴퓨터공학과 수학을 복수전공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 등으로부터 고액의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지만 병역 의무를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고 제대 후 삼성전자에서 근무하고 있다. AI코리아의 ... ...
다국어 서비스 개발 손쉬워졌다… 4개 외국어 음성 DB 공개
2016.03.30
내비게이션, 외국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쓸 수 있다. 이영직 ETRI 자동통역
연구실
연구원은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다국어 언어음성DB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라며 “국가DB 사업에서 요구하는 고품질 수준으로 완성한 만큼 신규시장 창출 및 국제경쟁력 강화에 ... ...
‘칩 위의 실험실’ 더 정밀해졌다
2016.03.28
제어할 수 있어 랩온어칩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생명과학
연구실
에서 많이 하는 세포배양이나 세포반응 분석을 초소형 바이오칩에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 교수는 “제어공학 관점에서 미세유체를 조정해 바이오 연구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 ...
[동아광장/이광형]알파고 이후의 ‘비틀기’ 전략
동아일보
l
2016.03.18
등의 제품들이 시집간 딸들처럼 가슴을 적시며 돌아왔다. 1990년대 초반 우리 인공지능
연구실
은 ‘퍼지 컴퓨터 개발’이란 제목으로 한국통신(현 KT)의 연구비를 받았다. 당시 퍼지이론은 인간의 불확실한 정보처리를 도와주는 기술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이 기술은 계산량이 많아서 당시의 PC로는 ... ...
2㎞ 떨어져도 사물인터넷으로 연결 가능
2016.03.17
부딪혀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최상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UGS무선통신
연구실
책임연구원 팀은 TV 방송용 주파수 중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는 ‘유휴 대역’ 주파수를 이용해 사물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통신 칩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통신 칩은 470~698M㎐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