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뉴스
"
생물학
"(으)로 총 2,36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2019.11.17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필자소개 이항재. 충남대 지질학과에서 고
생물학
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남 하동의 중생대 악어 두개골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에서 근무하며 고생물 분야에서 전시 및 교육 콘텐츠 개발과 연구를 수행하고 ... ...
이공계 임신부 연구자 10명 중 7명 “유해물질 다룬 적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등 실험장비가 구비돼 있지 않은 연구실은 절반이 넘는 58%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
정보센터(BRIC)와 사단법인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ESC)는 국내 이공계 임신부 연구자를 대상으로 지난 10월 22일부터 31일까지 열흘에 걸쳐 진행한 실험 환경 설문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 ...
호원경 교수 "野 집단연구비 감액 추진 재고해야" 브릭 기고문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맞는 개인 연구 과제를 제안해 지원 받을 수 있게 한다. 호원경 교수가 11일 오후
생물학
연구정보센터(브릭)에 올린 기고문이다. 2020년 기초연구비 예산 감액 의견을 논의할 국회 예산조정소위원회 의원들에게 보내는 형식으로 작성했다. 브릭 페이지 캡쳐 집단연구는 이와 달리 다른 연구자와의 ... ...
호박(琥珀) 속 곤충서 9천900만년 전 꽃가루 매개 확인
연합뉴스
l
2019.11.12
A는 A.부르미티나, B~F는 사진 A의 부분확대, G~H는 사진 F 하단부 부분확대. [난징 지질·고
생물학
연구소(NIGPAS) 제공] 속씨식물은 약 30만종으로 늘어나며 식물의 90%를 차지하지만 폭발적 증가의 원인에 대해서는 찰스 다윈 조차도 "끔찍한 미스터리"라고 지칭할 정도였다. 이후 곤충이 화분 매개 역할을 ... ...
"식물 생존 책임지는 '수송체' 연구에서 환경과 식량 해결 실마리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기능을 밝혔다. 관련 분야 논문만 128편에 이르고 1만 회 이상 인용됐다. 식물 세포
생물학
자인 이영숙 교수는 "고요해 보이는 식물이, 실은 속으로 보이지 않는 격렬한 투쟁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초학자로 30년 이상 살아온 이 교수의 일견 잔잔해 보이지만 결코 만만하지 않았을 삶이 겹쳐 ... ...
1160만년 전 유인원 화석에서 직립보행 증거 발견...기존 600만년전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연구결과를 두고 지나친 해석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데이비드 알바 스페인 카탈란 고
생물학
연구소 연구원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다누비우스 구겐모시가 고대인류와 연관이 되어있는지와 관련해 진화론적 분석을 거치지 않았다”고 문제제기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
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로 다른 나비가 닮아 보이는 이유 '유전자 흐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식물및야생과학과, 영국 얼햄연구소 노리치연구공원,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대
생물학
과 등 공동연구팀은 서로 다른 두 종의 나비가 같은 무늬를 갖게 된 주요 원인을 '유전자 흐름'에서 찾았다. 유전자 흐름은 하나의 생물 집단에서 다른 집단으로 유전자가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두 ... ...
[뉴스룸]과로와 부정으로 얼룩진 ‘실험실 안의 대학원생’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이공계 연구현장에서는 오래되고 흔한 농담이다. 30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
생물학
연구정보센터(브릭) 등 6개 전문연구정보센터가 공개한 ‘이공계 대학원생 처우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다 이 오래된 농담을 다시 떠올렸다. 8월 말~9월 초에 1330명의 국내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 ...
[기고] 좋은 대학원을 만든 대학원생 노동자들의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 수석부지부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
생물학
연구정보센터(브릭)을 포함해 6개 전문연구정보센터가 30일 발표한 ‘이공계 대학원생 처우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대학원생의 슬픈 자화상이 드러난다. 대학원생 중 62%가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10시간이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