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뉴스
"
생물학
"(으)로 총 2,36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에 생명 불어넣은 '산소화' 점진적으로 진행
연합뉴스
l
2019.12.12
이해를 시험하는 것"이라면서 "이번 연구결과로 볼 때 행성의 산소화는 가능성이 낮은
생물학
적 진전이나 지질구조의 변화가 여러번에 걸쳐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산소를 가진 행성은 지금까지 생각되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논문 책임저자인 벤저민 밀스 박사는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제공 동물행동 부문 우승작인 '말뚝망둥어 영역 다툼'. 영국 케임브리지대 고
생물학
과 강사이자 동물 사진작가인 대니얼 필드가 홍콩 마이포습지의 얕은 뻘에서 말뚝망둥어들이 몸부림치고 있는 장면을 담았다. 말뚝망둥어는 동남아시아에서 흔하며 대개 맹그로브 숲에서 살아간다. 어류이지만 ... ...
[프리미엄리포트] '겨울왕국' 엘사가 바다 얼리는데 쓴 에너지는 얼마일까
2019.12.07
습기를 모아서 얼음을 만들 수도 있고, 다른 사물의 온도를 확 낮춰 얼려버릴 수도 있다.
생물학
적으로는 신체를 얼음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은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 신체를 얼릴 수는 있어도 온몸의 세포가 얼어버리면 세포 내의 수분이 팽창해서 세포막을 파괴하기 때문에 다시 살아날 수 없다. ... ...
지구온난화로 죽어가는 산호초 살리는 물고기들
연합뉴스
l
2019.12.03
'시동' [엑시터대학 제공 동영상 화면 캡처] 영국 엑시터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해양
생물학
교수 스티브 심슨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수중 스피커로 건강한 산호초의 소리를 들려줬더니 어린 물고기들이 황폐화한 산호초로 몰려들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 ...
줄기세포·유전자 교정 연구성과 한눈에 살펴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김장성 생명연 원장은 “유전자교정 및 치료기술에서부터 줄기세포와 오가노이드, 합성
생물학
, 마이크로바이옴 등 바이오 분야의 주요 이슈에서 대해서 논의할 수 있는 자리”라며 “2019년 바이오 분야 성과를 돌아보고 2020년 바이오 연구개발(R&D) 분야의 융∙복합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길 ... ...
고효율 바이오연료 생산하는 미생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KIST 연구팀이 식량 아닌 바이오매스로 바이오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을 개발했다. 이 미생물은 바이오연료를 생산할 때 저해하는 물질에 ...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지구변화
생물학
바이오에너지’ 10월 10일자에 발표됐다 ... ...
17년 전 남태평양서 발견한 극한 미생물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현실화할 세계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가 됐다. 해양과기원은 곧장 이 미생물의
생물학
적 기능과 수소 생산 원리를 밝히고 기능을 강화하는 연구에 착수했다. 또 효율적으로 수소를 낼 수 있는 공정도 개발했다. 강 센터장은 "원래는 산소가 존재하면 살 수 없는 혐기성 미생물이었지만 지상에서 ... ...
해양과학기술원 제주연구소 '안전관리 우수 연구실'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배양실은 동물세포를 배양하는 배지를 자체 개발하고 배양하는 곳으로 세포의 분자
생물학
적 특성을 분석한다. 유용효소 개발 실험실은 해양생물로부터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효소를 발굴하고 생산하는 연구를, 해양 천연물 분석실은 해양생물에서 나온 기능성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해 규조를 ... ...
'지구상 가장 큰 동물' 대왕고래 심장 1분에 두번 뛴다…사상 첫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걸려 몸의 크기가 유지된다. 골드보겐 교수는 “생리학의 극단에서 활동하는 동물은
생물학
적 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이러한 연구는 환경 변화에 특히 취약한 대왕고래와 같은 멸종위기종의 이해를 넓힘으로써 보존과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설명 ... ...
"간헐적 단식도 일상화하면 심부전 위험 낮춘다"
연합뉴스
l
2019.11.19
빈도로라도 금식을 일상화하면, (고강도) 단식을 통해 신속히 활성화하려는 것과 동일한
생물학
적 메커니즘을 가동할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 일반적으로 이 메커니즘이 작동하려면 약 12시간의 단식이 필요하지만, 장기간의 일상화된 단식은 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한다. 예컨대 매일 저녁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