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6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첨단 나노기술 만나는 ‘나노코리아 2019’ 역대 최대규모로 개막동아사이언스 l2019.07.03
- 극복한 나노광소자 설계 및 구현 기술을 개발한 송석호 한양대 교수와 30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나노소자 측정이 가능한 반도체 인라인용 3D 원자현미경을 출품한 파크시스템스가 각각 연구혁신과 산업기술 분야 국무총리상을 수상한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은 개회식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 플라스틱에 교차반응이 번갈아 일어나게 하는 정상파 광학 기술은 최소 1.8㎛(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크기로도 가능해 1만4000dpi(인치 당 화소수)의 해상도가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일반 잉크젯 프린팅의 해상도는 아무리 좋아도 1200dpi 수준이다. 잉크 방울의 크기를 더 이상 줄일 수 없기 ... ...
- 원전 안전 위협하는 부품 부식·균열 예측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연구팀은 예측식을 개발하기 위해 300도, 150기압 이상의 원전 내부 환경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균열까지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실증장비를 개발했다. 이 장비로 모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원전 가동 환경에서 인코넬690의 부식균열 속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을 세계 ... ...
- 가장 세밀한 자기공명영상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만든다. 분자 수준까지 측정할 수 있는 MRI 연구가 지금까지 이뤄졌지만 해상도가 나노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 그쳐 개별 원자 수준까지 또렷이 보기는 어려웠다. 독특한 분자 구조 소재나 미시적으로 자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개별 원자 스핀을 시각화하는 게 ... ...
- 2차전지 에너지 밀도 높일 실마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1
- 전기화학적 특성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 활물질은 수십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크기의 가루 형태 단입자로 제작된다. 이후 공정을 거쳐 전극으로 만들어진다. 단입자도 내부를 들여다보면 일차 입자가 포도처럼 송이송이 맺힌 복잡한 구조로 이뤄져 있다. 내부 구조를 정밀 ...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동아사이언스 l2019.07.01
- 지나갈 ‘방’ 또는 ‘길’이 필요하다. 반도체는 이 길을 나노 공정을 통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까지 줄이고 있다. 그런데 3∼5nm 공정에 가면 전자끼리의 간섭이 일어나고 열이 많이 나면서 정보를 처리하는 데 방해가 되는 물리적 한계가 나타난다. 무어의 예측은 반도체와 ... ...
- 5년 사용해도 성능 93% 유지되는 ‘나트륨 배터리’ 소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6.30
- 능력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별다른 최적화를 거치지 않은 수십~수백 μm(마이크로미터, 1 μm 는 백만 분의 1m)의 황화구리 입자를 사용할 경우, 흑연을 사용한 기존 배터리보다 용량이 17% 늘었다. 수명은 2000번을 충방전해도 저장용량이 초기의 93%까지 유지될 정도로 길었다, 연구팀은 "매일 ... ...
- ‘지질학 타임캡슐’ 제주 오름 분석해 한라산 탄생 비밀 밝힌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8
- 쌓이며 나이테처럼 뚜렷한 층을 보인다”며 “그런 퇴적층을 밀리미터(mm), 마이크로미터(μm) 단위까지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제주 화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산정상의 백록담 주변에 집중됐다. 아직까지 한라산 보호구역 내 40여 개 오름을 비롯해 제주도 오름 대부분의 형성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2019.06.27
- 있다면 이를 숫자로 표현한 자연상수들이 우리에게도 아주 익숙한 모습일 것이다. 가령 1미터는 우리의 신체 크기와 비슷하다. 그러나 코페르니쿠스 이후로 우리는 우주의 변방으로 일찌감치 밀려났다. 과학이 인류에게 가져다 준 가장 큰 선물은 아마도 우리가 이 우주의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 ... ...
-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리튬 금속배터리 안정성 높이는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6.27
- 안전하게 리튬을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탄소나노튜브는 수 나노미터 지름의 크기에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의 탄소소재로 상호작용에 의한 다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에 리튬 이온을 저장할 수 있어 배터리 소재로 사용가능하지만 저장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