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75건 검색되었습니다.
콘크리트 이송관 수명 늘린 중소기업, 재료硏 도움으로 해외 진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늘릴 수 있다는 얘기다. 또 기존 이송관의 한계를 극복해 콘크리트를 총 8만 세제곱
미터
이상 이송할 수 있을 만큼 수명을 늘렸다. 충격과 휨에 견디는 강도가 우수해 파손 위험도 줄였다. 이중 구조가 아니라 일체형이어서 기존 이송관처럼 내부 파이프가 마모될 위험이 없다. 케이엠티는 ... ...
불을 뿜는 드론
팝뉴스
l
2019.08.13
있다. 하늘로 날아오른 드론에서 강력한 불길이 뿜어져 나온다. 화염의 길이는 최대 7.5
미터
라고 한다. 영상에는 벌집을 태우는 장면이 나온다.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해충을 박멸하거나 잡초를 태워 없애는데 이 드론을 활용하라는 의미이다. 위험하지는 않을까. 적지 않은 네티즌들이 ... ...
1조 분의 1초만에 사라지는 핫전자 잡아 태양전지 효율 1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때문이다. 핫전자는 수 피코초(ps, 1조 분의 1초)만에 소멸하고 확산거리가 수십 나노
미터
(nm∙10억 분의 1m)에 불과해 포집이 어렵다. 국내 연구팀이 빛을 매우 잘 흡수하는 특성을 지닌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이런 문제를 해결한 핫전자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 ...
비싼 희토류 사용 줄인 값싸고 강한 차세대 자석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문제를 해결했다. 굵기가 200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이고 길이가 수십 μm(마이크로
미터
, 1 μm는 100만 분의 1m)인 사마륨-코발트 나노섬유를 만들었다. 여기에 연자성 철-코발트를 수 nm 두께로 코팅해 효율 높은 새로운 자석을 개발했다. 소결형 교환스프링자석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표현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계의 전파 신호, 정확한 위치가 잡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표지에 담았다. 이는 호주 서부에 위치한 대형 전파망원경 집합체인 ‘호주 스퀘어 킬러
미터
어레이 패스파인더(ASKAP)’의 모습이다. 12
미터
구경의 대형 전파망원경 36대로 구성된 ASKAP는 우주에서 오는 전파 신호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잡아내는 능력을 갖췄다. ASKAP는 우주에서 오는 짧지만 강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
미터
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물질 이동에 관여한다. 약 25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의 지름에 200나노
미터
~25마이크로
미터
(μm, 100만분의 1
미터
) 길이의 원통 형태로 이뤄졌다. 인간의 머리카락보다 약 1000배 얇은 수준이다. 표지 속 오렌지색의 동그란 물체가 모터 역할을 하며 미세소관을 움직인다. 이 동그란 물체의 정체는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열을 감지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연구진은 알루미늄 호일보다도 얇은 1.8㎛(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 두께의 초박형 물질에 이산화규소와 산화하프늄을 불규칙적인 두께로 덧씌어 마치 거울과 같은 초박형 다층구조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의 내부 구조는 특정 주파수 적외선을 외부로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관련된 뇌 연구에 쓰이는 장치 크기가 광섬유의 경우 125~200μm(마이크로
미터
, 1 μm는 백만 분의 1m), 금속 약물주입관은 250~500μm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편이다. 뇌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정교한 선택적 신경회로 제어에 어려움을 준다. 또 실리카와 금속 등 고강성 재료로 제작돼 부드러운 뇌 조직과의 ... ...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
과학동아
l
2019.08.08
단백질 구조 등을 확인하는 데 쓸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해상도가 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 그쳐 이보다 작은 개별 원자를 또렷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은 “해상도를 기존 대비 100배 이상 끌어올렸다”며 ... ...
백금촉매에 탄소껍질 씌워 수소차 핵심 연료전지 수명 4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백금 이온과 아닐린을 결합해 대량생산에 용이한 열처리 단일 공정을 통해 약 1나노
미터
(10억분의 1
미터
) 두께의 탄소껍질로 둘러싸인 균일한 백금 나노촉매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선 아닐린이 백금 이온과 항상 일정한 비율로 결합해 화합물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백금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