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어린이과학동아
"
큰
"(으)로 총 6,480건 검색되었습니다.
숲 속의 보물, 멋쟁이 딱정벌레를 아시나요?
기사
l
20221008
wr_id=11616 이처럼 멋쟁이 딱정벌레는 색깔이 다양합니다. 달팽이와 지렁이를 좋아하고 홍단 딱정벌레와 함께 한국에서 가장
큰
딱정벌레입니다. 볕이 잘 드는 나무뿌리가 있는 벼랑에서 월동을 하고 등화채집이나 야간 채집으로 잡을 수 있으며 특히 수로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외국에서는 앙코스키 딱정벌레라고 불립니다. 멋쟁이 딱정벌레 ...
이수지 작가님을 만나다
기사
l
20221008
또 , 음악 ‘ 사계 ’ 와 함께 듣고 읽으면 더 좋은 책이지요. 하지만 글자는 크게 보이지 않습니다. 작가님의 그림책들은 글자는
큰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글자가 없어도 그림을 통해서 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훌륭한 상을 받으신 작가님을 작업실에서 직접 만난다고 생각하니 며칠전부터 무척이나 설레였습니다. 작가님은 활짝 웃으시 ...
쿠키런 서부 기프트AU (용 명 딸 커)
포스팅
l
20221008
심플함.명쿠: 기프트O. 도적단 중 가장 리더.-종종 머리 풀고 다님.-도적 일 할 땐(소탕) 마스크 쓰고 망토에 있는 모자 착용.-저거
큰
망토임.-용쿠만큼은 아니지만, 운동신경 좋음. 설득력은 용쿠보다 좋음.-8살 때 보완관이었던 부모가 죽고 10살 때 용쿠랑 이복남매(쌍둥이남매) 됨.-25살때 실종 되었다가 도적 됐음.-신발은 허름한 편. ...
다른 의미로 여기 좀 무서워졌어요
포스팅
l
20221007
진짜 프사가 10개중 5개 이상이 이누마키예요..이런 규모
큰
프맞은 첨이라 좀 무섭군요 ...
어이 없었던 썰
포스팅
l
20221006
라고 절 거둬서 저는 힘으로 뿌리치고 나오는데 동생 친구가 제 수영모 잡고 걍 빠트린거에요???!? 저 그 때 물안경도 안 썼으면 진짜
큰
일 났을뻔 할정도로 물 진짜 많이 먹었고 진짜 어이도 없고 동생이 언니 머리채 잡고 뒤로 눕힌다... 지금 생각해도 짜증나네요...(젤 짜증나는건 엄마가 혼내셨는데 반성할 기미가 보이지도 안는것... ...
이 개구리를 아시나요?
기사
l
20221006
그런데 놀랍게도 '페페 더 프로그' 속의 페페의 상징은 사랑과 평화라고 합니다. 이렇게 악용되는걸 보던 맷 퓨리는 마침내
큰
결심을 합니다. 바로 작 속에서 페페를 죽이기로 결심한 것인데요. ㅊㅊ: 조선일보 자신이 창조해 낸 캐릭터를 죽이는 작가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하지만 페페가 공식적으로 사망하였음에도 계속 현재까지 악용 ...
반모의 시초가 언제죠?
포스팅
l
20221006
2017? 2018? 이 쯤 아닌가요365일은 너무
큰
차이인가요? ...
아니 진짜 이건 아니잖아요
포스팅
l
20221005
00랜드(에8랜드 아님 여튼
큰
놀이공원은 맞아요) 여튼 여기에 현체를 가는데 저희학교 900명과 다른몇개의 중학교 몇천명이 무서운 놀이기구(근데 이지역 살면 매일가서 안무서워요.. ㅋㅋ ) 5~6개에 몰립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진짜 거의 한달에 한번꼴로 갔던곳에선 뭘타냐구요.. 심지어 지도 없어도 여기에 이거 있음 최단길로 안 ...
나비에 대한 많은 것을 알 수 있는 에 다녀왔어요.
기사
l
20221003
암컷이 부화하고 바로 짝짓기를 한다는 것이였어요. 그래서 신기했어요. 그리고 현장교육에서의 주의사항을 안내해 드리고 싶어요.
큰
소리로 말하지 말고 연구원님의 말씀을 잘들어야해요. 그리고 생물을 잡아서 관찰하면 안돼요. 생물이 다칠 수가 있기 때문이예요. 그럼 여기까지 황금매미 팀의 이서진 기자였습니다. 안녕히계세요. 다음 현장교육에 ...
이수지 작가와의 첫 만남! -후기
기사
l
20221003
친절하게 답해주셨습니다. 첫 번째 질문의 답변은 "올해 안데르센상을 수상하여 정말로 놀랍고 좋았다. 안데르센상이 엄청
큰
상이었는데 직접 타게되어 매우 영광이다." 두 번째 질문의 답변은 "책을 만들 때 마다 고민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방식으로 단정지어 말하긴 어렵다." 마지막 세 번째 질문의 답변은 " 많은 사람들이 그림책을 읽고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