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성능 수천 배 높였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기술로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크게 끌어 올렸다. 박용근 KAIST 물리
학과
교수팀이 빛의 위상을 조절해 홀로그램 영상을 만드는 공간광변조기의 성능을 보완해 3차원 홀로그램의 크기를 3배 이상, 시청 가능 각도를 10배 이상 확대했다고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1월 24일자에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천체는 콘드라이트 성분이 풍부한 천체였을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스웨덴 룬트대 물리
학과
비르거 슈미츠 교수는 “학계에서는 과거 5억 년 동안 태양계가 굉장히 안정적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며 “4억6700만 년 전에 지구를 향해 날아온 운석이 현재와 달랐다는 점은 꽤 놀라운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물꼬를 튼 것이다. 2006년 애벌레 로봇을 개발해 소프트로봇 분야를 연 미국 터프츠대 생물
학과
베리트림머 교수는 보도자료에서 “첨단 소프트로봇 기술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려면 사람들이 로봇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며 “이 논문이 좋은 예”라고 밝혔다. 조규진 서울대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387조5794억 원에 이른다.1931년 5월 4일 서울에서 태어난 강대원 박사는 1955년 서울대 물리
학과
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오하이오주립대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1959년 벨 연구소에 들어간 지 1년 만에 마틴 아탈라 박사와 함께 모스펫을 발명했다.모스펫은 실리콘 반도체 위에 ... ...
[Issue] 빈 속에 술 마신 당신 음주거식증 경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때문에 단기적 기억상실이 더 자주 일어날 수 있다. 정조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
학과
임상강사에 따르면, 술은 새로운 기억을 장기적 기억으로 변하게 하는 과정을 막고, 기억력과 관련된 해마 등의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단기적 기억상실이 지속된다는 것은 뇌의 기억력에 큰 영향을 ... ...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영향을 많이 받는 기관이기 때문이랍니다.지난 2015년 1월 미국 예일대학교 면역생물
학과
이와사키 아키코 교수팀은 왜 체온이 낮을 때 면역력이 떨어지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해 봤어요. 연구팀은 사람의 ●기도세포를 추운 환경과 따뜻한 환경에서 키운 뒤,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인 리노바이러스를 ... ...
Intro. 수학에게 묻는 작은 세상의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만약 내가 개미처럼 작아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마치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속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일이지요. 그런데 여기 진짜 작아진 아이들이 있어요. 거짓말 같다고요? 아이들이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들려줄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에게 묻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양자역학은 확률의 과학이다. 모든 게 결정이 됐던 기존의 물리
학과
다르게 모든 게 확률로 돼 있는 것이다. 미국의 위대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하지만 아직 양자역학보다 미시세계를 잘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사람들은 저를 로그를 만든 수학자 정도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무리수 2.718…이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은 모르는 것 같아요. 순서로 보자면 ‘오일러 수’가 아니라 ‘네이피어 수’라고 불러야 하는 거 아닌가요?수학을 연구하다 보면 소수점 아래 수가 길고 복잡한 수를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목표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나톨로지스트인 이범수 동국대 생사문화산업
학과
교수는 “어려서부터 죽음에 대한 교육을 한다면 청소년 자살률도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사나톨로지가 발달한 국가와 아닌 국가에서는 급작스러운 죽음을 겪었을 때 대처하는 과정이 다르다. (상상하기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