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행기가 비행기를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최근 유럽 최대 방위산업체 ‘BAE시스템스’가 공개한 2040년 미래항공기술컨셉에 담긴 영상이다. ‘BAE시스템스’는 3D프린터를 탑재해 소형항공기나 무인비행기를 내부에서 만들 수 있는 항공기를 현재 연구 중에 있으며, 빠르면 2040년 이전에도 실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불이 나거나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로봇공학자 인 필자에겐 ‘충격과 공포(!)’였다. 쿠마 교수가 2012년 2 월에 올린 유튜브 영상 속에서 드론들은 마치 나비처럼 날아올라 벌처럼 쏘는 듯 재빠르고 화려한 군무를 선보 인다. 거침없이 편대를 바꾸고, 주변 드론이 날개를 돌 릴 때 나오는 세찬 바람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렬 로 줄 ...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합으로 바꾸는 공식이 푸리에가 개발한 ‘푸리에 변환’입니다. 푸리에 변환은 자기공명영상(MRI) 같은 첨단의료장비뿐 아니라 파도가 방파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파나 목소리 분석, 소음 제거 등에 폭넓게 쓰이고 있습니다.우리 몸 구석구석 피의 흐름을 계산하는 수학공식도 있습니다. 프랑스의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소형로봇이 먼 거리를 가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한 거죠.”박 연구원이 그간 촬영해둔 영상을 모니터에 띄웠다. 한쪽에는 실제 공벌레가 몸을 말았다가 펴는 모습이, 반대쪽에는 연구팀이 개발한 필봇이 나오고 있었다. 움 직이는 모습이 정말 공벌레와 비슷해 보였다. “공벌레 연구는 어떻게 ... ...
- 꿀꺽~ ‘나노주스’로 내시경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연구했다. 이 물질은 근적외선 부근의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물에 섞어 마신 뒤 영상장비로 관찰하면 소장 내부를 알록달록 빛나게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물에 잘 퍼지지 않는데다 소장의 혈관에서 흡수돼버리는 단점이 있었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팀은 ‘나노냅’이라는 아주 작은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참조). 물론 이온 자체를 확대해 본 건 아니고, 이온이 내는 형광(빛)을 레이저로 측정해 영상으로 바꾼 것이다. 컴퓨터로 레이저 강도를 조절하자, 트랩 안에 두 개 세 개의 이온이 잡히는 모습까지 생생하게 보였다.“전하를 지니고 있는 이온이기 때문에 서로 척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어느 정도 ...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신경노화(친고령·항노화연구센터), 복잡계 및 시스템생물학, 계산 및 빅데이터생물학, 영상생물학, 양자생물학 등 첨단 융·복합 생명과학을 두루 연구한다. 국내에서 이렇게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를 한꺼번에 아우르는 전공은 DGIST의 뉴바이올로지 전공이 유일하다.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의대 ...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가 이렇게까지 큰 인기를 누린 비결은 무엇일까? 아마도 최첨단 장비로 찍은 영상미가 한몫했겠지만, 가상의 세계에서만 존재했던 아바타의 존재를 현실적으로 그려냈기 때문일 것이다.그런데 영화처럼 하반신 마비 환자가 뇌를 컴퓨터와 연결해 아바타를 조종하는 기술은 이제 더 이상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서 반장을 찾아라! 단서➏ 미술관 사각지대를 막아라!드론 카메라에는 반장이 남긴 동영상 메시지도 들어 있었다.“후훗, 여기까지 모든 시험을 통과하다니! 지금까지 너희들을 가르친 보람이 있구나. 그럼 이제 실전이다! 얼마 전에 나한테 미술품 도난을 예고하는 메시지와 사진 한 장이 배달돼 ... ...
- PART 1. 당신의 파도는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자동차가 휩쓸려가는 영상은 너무도 비현실적이어서 마치 미니어처에 물을 부어 찍은 동영상이 아닐까란 의심이 들게 한다. 과학적인 눈으로 다시 보면 쓰나미는 ‘파도’다. 해수욕장에서 발가락을 간질이는 그 파도 맞다. 그저 워낙에 거대한 에너지가 한 번에 전달됐기 때문에 규모가 커졌을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