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신 아스클레피오스다. 아스클레피오스는 대학자 케이론에게 야생 약초에 관한 지식과
병
고치는 법을 배웠다. 어느날 뱀 한마리가 신기한 약초를 물고와 죽은 동료 뱀에게 붙여 살려내는 장면을 보고 아스클레피오스는 이 약초로 죽은 자를 다시 살리는 비법을 알아냈다. 난폭한 말에 팔다리가 ... ...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줄기세포로부터 얻은 신경세포를 이식했더니 개가 다시 걸을 수 있게 됐다. 또 파킨슨씨
병
에 걸려 신경이 손상된 환자의 환부에 인간 태아의 신경을 이식했더니 치료하는데 필요한 약물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하지만 이런 방법을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 기술적으로 가장 큰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椎骨動脈)으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뇌의 혈관계를 X선으로 관찰하는 방법 포르투갈의 신경
병
리학자 A E 모니즈(1874~1955)가 1927년에 창시한 것으로 뇌동맥 조영법과 뇌정맥 조영법이 있다뇌동맥 조영법은 조영제를 주입하는 동맥에 의해 경(頸)동맥 조영법과 추골(椎骨)동맥 조영법으로 나뉘고, 그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6천m 깊이까지 내려갈 수 있었다. 아르고로 탐사를 시작한 지 20일 후 드디어 포도주
병
, 매트리스, 전신기 등이 화면에 보이기 시작했다. 아르고 덕분에 3천8백10m 해저에 꼭꼭 숨어 있던 타이타닉호가 마침내 세상에 공개됐다.아르고의 활약은 예견된 것이었다. 1966년 미국의 유인잠수정 앨빈은 미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잘 활용하고 있다. 이 미생물의 균주는 식물이 가진 방어능력을 활성화해 식물 스스로
병
저항성을 갖게 하는 한편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도 지녔다.개발비는 화학농약의 1/10 수준 지금까지 우리의 농업은 화학농약과 비료를 사용한 생산성 향상에만 초점을 맞춰왔다. 1960-1970년대에는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 애보트 사의 리덕틸 등이 국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한편 지난 6월 울산의대 서울아산
병
원 내분비내과의 이기업 교수가 체내에서 소량 생산되는 지방산인 알파리포산이 뇌 시상하부에 있는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힌 바 있다. 새로운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머리 손상이 치매의 발
병
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머리를 다쳤을 경우 방치하지 말고 바로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치매의 근본적인 원인은 뇌의 신경세포가 사멸돼 뇌 신경세포간의 네트워크가 ... ...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마다 않고 찾아나서던 어느날 대장암 판정을 받았다.“참 바쁘게 살았는데, 몸에
병
이 들면서 제가 찾는 일도 저를 찾는 사람도 줄어들게 됐죠. 그래서 이전부터 해보고 싶었던 일을 하기로 했어요. 자연도감류의 책이 아닌, 숲과 소통하고 대화하는 책을 쓰고 싶었죠. 학교 뒤에 있는 북한산에 자주 ... ...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모험이와 슬기는 요즘 영화‘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가 개봉하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영화를 좀더 재미있게 보기 위해 두 사람은 마술학교에서 마술을 배우 ... 데워지고 빨리 식기 때문에 동전의 움직임을 관찰할 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실험에는 유리
병
이 더 적합하다 ... ...
내 부모는 예외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헌팅턴
병
으로 잃어버린 뇌세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모든 질
병
과 마찬가지로 노인성 뇌질환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과 취미활동으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한다. 또 과도한 흡연과 음주를 삼가고, 즐겁고 긍정적인 태도로 살아가는 것이 건강하고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