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등이 바로 그것이다.오늘날 최고 식품으로 꼽히는 우유의 효험에 대한 언급도 보인다. ‘
병
을 앓은 후에 허약해진 체력을 회복하려면 소젖 1되와 물을 넣고 끓여 졸여 마신다.’물론 요즘 현실과는 맞지 않거나 다소 허황된 듯한 처방도 곳곳에 나타난다. ‘호랑이에게 물리면 염교(달래)즙을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ZEUS, 다빈치 외과수술 시스템이 봇물 터지듯 차례로 등장했다. 지금도 미국 내 약 200개
병
원에서 로봇 외과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같은 의료용 로봇이라도 이용방법에 따라 두 종류로 분류된다. 그 중 하나는 다빈치 시스템처럼 흉곽이나 복강 내에 내시경을 삽입한 뒤 집도의가 수술 환부를 직접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않고 혼자
병
을 비운다. 그러나 어느 날 한강변을 달린 뒤 초원이는 자신이 마시던 물
병
을 코치에게 건넨다. 기대하지 않았던 ‘호의’에 초원을 바라보는 코치의 눈빛이 감동에 젖어있다. 자폐아가 남을 배려하다니···.미국 워싱턴대 자폐증센터의 제랄딘 도슨 박사팀의 연구결과는 위의 과정을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수은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했더니 45그레인(약 3g)가량 늘어난 것을 발견했다. 유리
병
에 남아 있는 공기 속에서 양초를 태웠지만 타지 않았다. 라부아지에가 이 실험을 한 이유는 산화수은이 공기 무게의 1/12에 해당하는 성분과 수은이 결합한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미 라부아지에는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필요한데, 저급지방산이 바로 탄소공급원 역할을 한다. 대구시 북구 서변동 하수
병
합처리장에서는 음식물쓰레기 발효 후 얻은 메탄가스를 자체 동력으로 활용하고 있다.양주군에 있는 한 양계농장에서는 나이가 들어 알을 낳는 능력이 떨어진 폐산란계를 싼값에 대량 구입한다. 음식물쓰레기에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감염으로 일어나는 질환의 총칭 현재 알려진 33가지 형의 아데노바이러스 중 약 2/3에서
병
원성이 인정되고 있으며 동일한 질환을 여러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예도 있고 반대로 한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여러 종류의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은 근육을 구성 하고 있는 온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두편을 보자.영리한 까마귀 목마른 까마귀가 유리
병
에 들어있는 물을 발견했다. 그런데
병
주둥이가 길쭉하고 물이 반밖에 차지 않아 마실 수 없었다. 똑똑한 까마귀는 자갈을 물고와 떨어뜨려 수위를 높여 물을 마셨다.어려움에 처해도 까마귀처럼 가지를 발휘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교훈 ... ...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품종이 좋은 고양이라서 잘 사는 주인에게서 키워졌다고 해요. 하지만 은하가 피부
병
에 걸리자 주인이 어쩔 줄을 몰랐다고 해요. 치료를 잘 못해 위험에 처해있는 은하를 누나가 뺏다시피 데리고 왔답니다. 누나의 헌신적인 치료로 지금은 아주 건강한 피부를 가지고 있지요. 참! 옆에서 소개한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도달하게 되었다 곤충 바이러스
병
의 하나 주로 누에 등 나비의 유충에 감염 · 발
병
한다바이러스는 지름 50~70nm의 정이십면체이고 각 꼭지점에는 돌기가 있으며 핵산은 2중사슬 RNA이다보통 바이러스 입자는 지름 3~6μm의 다각체라는 단백질의 봉입체(封入體) 속에 불규칙하게 들어 있다다각체에는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더 효과적일 수 있다.미국 솔크연구소 게이지 박사는 운동신경이 서서히 죽어 루게릭
병
이 걸린 생쥐에게 GDNF라는 성장인자를 주입해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죽는 것을 막는데 성공했다. 또 미국 존스홉킨스대 기어하트 박사는 생쥐에 인체의 배아줄기세포를 주입해 비슷한 효과를 얻었다.다시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