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난파선 탐사, ‘거북이 로봇’에게 맡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바다
거북이 헤엄치는 원리를 이용해 난파선 탐사용 로봇 ‘U-CAT(유캣)’을 개발했어요.
바다
거북의 다리처럼 각각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네 개의 물갈퀴로 자유롭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똑똑한 로봇이지요. 프로펠러 추진기가 아닌 물갈퀴를 사용해서 해저에 쌓인 침전물을 건드리지 않고 조용히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곳에 몰래 보내기 좋아요. 군사용으로 적진에 날려 보내 정찰하거나, 석유가 유출된
바다
의 오염 상태도 살펴볼 수 있지요. 산불이 퍼지는 경로도 한눈에 볼 수 있어요.배와 비행기의 장점을 두루 갖춘 것도 있어요. 수면 위를 아주 가까이 나는 위그선은 비행기보다는 느리지만 배보다는 훨씬 ... ...
“화성, 기다려!” 21번째 탐사선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커지고 있지요. 실제로 과학자들은 약 40억 년 전 화성은 지금의 지구처럼 강이나 호수,
바다
가 있고 대기층도 두꺼운 풍요로운 행성이었을 거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지금은 옅은 대기층 아래 붉은 암석과 먼지만 굴러다니는 ‘척박한’ 행성이지요. 과학자들은 강력한 태양 입자들이 대기를 지킬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알려고 할 때 기준이 된답니다. 나침반을 이용하기 전에 사람들은 방향을 알 수 없는
바다
에서 북극성을 이용해 밤에 항해를 했어요. 그런데 놀라운 사실이 있어요. 북극성도 아주 조금씩 위치가 변한답니다. 앞으로 몇 백 년까지는 거의 그대로지만 1만 4000년 뒤가 되면 큰 원을 그리면서 움직일 ... ...
멸종위기
바다
거북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그물 때문에 다쳐서 아파하는 단비 모습을 보니 너무 속상해. 앞으로 단비처럼 아파하는
바다
생물들이 없었으면 좋겠어.단비야~, 어서 기운을 차리고 다리도 모두 나아서 멋지게 수영하는 모습 꼭 보여줘~. 사랑해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NASA가 발표한 목성 위성 유로파의 상상화. 두꺼운 얼음층 밑에 깊이 100㎞에 달하는
바다
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남극과 유사한 환경이기 때문에 남극의 미생물 발견과 연구는 유로파의 외계생명체탐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미생물 GFAJ-1(위)와 모노 호수(오른쪽). ⓒNASA과학자들은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순환이 계속되면서 극지방의 차가운 바닷물과 적도의 뜨거운 바닷물이 섞여 전 세계
바다
에 열이 균형 있게 존재하게 된답니다. "우리 몸에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면역세포가 생기듯이 지구에도 평형을 유지하려는 힘이 있답니다. 작년 8월에는 북극 얼음 면적이 관측 이래 가장 작았어요. 따라서 ... ...
일본산 해산물은 입국 거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밝혔어요.2011년 폭발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이 세슘과 요오드를 포함한 방사성 물질을
바다
로 계속 뿜어내고 있기 때문이죠. 다행히 국립수산과학원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2011년부터 두 달에 한 번씩 우리나라 해역 바닷물의 방사능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방사성 요오드와 세슘 함유량은 사고 ... ...
3억 5000살 먹은 전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대륙에 살았던 가장 오래된 육상생물 화석이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어요.
바다
생물이 육지에 발을 디딘 것은 약 4억 2000만 년 전인 고생대 실루리아기예요. 식물이 먼저 육상에 적응한 뒤 식물을 먹는 원시곤충이나 무척추동물도 육지로 올라오기 시작했지요. 이후 4억 1600만 년 전 실루리아기 ... ...
지렁이가 지구온난화 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인간이 만드는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혀왔지요. 그런데 새로운 공범이 나타났어요. 놀랍게도 그 주인공은
바다
에 사는 약 1㎝ 크기의 작은 지렁이 ... 이 때문에 땅에 관 형태의 구멍을 파고 박테리아를 잡아요. 이 과정에서 땅 속의 메탄이
바다
속으로 나오게 된 거랍니다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